UPDATED. 2025.08.26(화)

[간밤의 美친주식] 테슬라, 연준 금리인하 시사에 투자심리 개선

Corning Inc.,디스플레이 기술과 광통신 분야 수요 증대에 상승 ... 아마존, 소비업종 강세 힘입어 상승

CP CP

2025-08-26 07:39:05

[글로벌에픽 CP] 1. 테슬라 = 연준 금리인하 시사에 투자심리 개선

8월 25일 6.2% 급등하며 340.01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잭슨홀 경제 심포지엄에서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시장 투자심리가 크게 개선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테슬라의 급등은 개별 기업 요인보다는 금리 인하 기대감에 따른 거대 기술주 전반의 상승 흐름에 기인한다. 이날 S&P 500 지수는 1.5% 상승했고, 나스닥 지수는 1.8% 올랐다. 특히 소비자 금융에 의존하는 테슬라와 같은 성장주들이 금리 인하 수혜주로 주목받았다.

주가 급등에도 불구하고 테슬라는 여러 구조적 과제를 안고 있다. 회사는유럽에서 최대 40%의 리스 할인을 제공하며 영국 판매 급감과 중국 전기차 업체들의 경쟁 압력에 대응하고있다. 전 세계적으로 배송량 감소와 공격적인 인센티브로 인한 마진 위험도 계속되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파월 의장의 발언이 9월 금리 인하에 대한 명확한신호라고 평가하고 있다. 모건스탠리 웰스 매니지먼트의 엘런 젠트너 수석 경제 전략가는 "노동시장 약화가 인플레이션 위험보다 우세한 것으로 보이며, 시장의초기 반응이 이를 말해준다"고 분석했다.

2. 아마존 = 금리인하 기대감과 소비업종 강세에 힘입어 상승

금리 인하 기대감은 특히 소비 업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금리가하락할 때 가장 좋은 성과를 보이는 업종으로는 자동차, 의류, 소매업이꼽힌다. 아마존은 이러한 소비 업종의 대표 기업으로서, 금리인하로 인한 소비자 구매력 증가와 기업의 차입 비용 절감 혜택을 동시에 누리고 있다.

아마존 주가는 현재 주당 228.01달러에 거래되고 있으며, 지난 1년간 27.47% 상승했다. 시가총액은 2조 4,300억달러에 달해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기업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애널리스트들의 전망도 긍정적이다. 46명의 월가 애널리스트들이 최근 3개월간 제시한 아마존의 12개월 목표 주가는 평균 263.93달러로, 현재 가격 대비 15.33% 상승 여력이 있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모든 전망이 장밋빛인 것은 아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높아지면서 연준이 추가 금리 인하에 대해 신중한 접근을 보이고 있으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인한 인플레이션 압력도 연준의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2025년 상반기 경제성장은 제안된 더 높은 관세를 앞두고 미국기업과 소비자들의 "선제적 구매"로 혜택을받았지만, 이러한 활동이 끝나면서 하반기 글로벌 성장에 일시적인 둔화를 야기할 수 있다.

3. Corning Inc. = 디스플레이 기술과 광통신 분야 수요 증대에 상승

25일 현재 주가는 66.93달러로 1.76% 상승했으며 이는 디스플레이 기술과 광통신분야에서의 견고한 수요 증가에 힘입은 결과로 분석된다.

코닝의 주가 상승을 이끄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확장에 따른 광섬유 수요 급증이다. 생성형 AI 수요가 증가하면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는 확장 가능한 고밀도 광섬유, 케이블, 연결 솔루션이 필요하게 되었다

5G 네트워크 구축또한 코닝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5G 구축을 위해서는 대규모 네트워크 밀도화가 필요하며, 뉴욕시의 모든 5G 셀을 연결하는 데 필요한 광섬유양은 4G 네트워크 대비 거의 100배에 달한다

애널리스트들은 코닝의 전망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미즈호는 최근 코닝의 목표주가를 63달러에서 74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3분기 매출 전망은 42억 달러, 주당순이익(EPS)은 0.63~0.67달러 범위로 제시되었다

광섬유 프리폼 시장은 2024년 67억 달러에서 2025년부터 2034년까지 연평균 24.5%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5G 확산과 정부 지원, 고속 인터넷 수요 증가가 주요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4. 인텔 = 美 정부 최대 주주 올라서며 급등

경영난에 허덕이던 미국 반도체 거대기업 인텔이 트럼프 행정부의 직접 투자로 극적인 반전을 맞고 있다. 미국 정부가 89억 달러를 투자해 인텔의 지분 9.9%를확보하며 최대주주로 올라선 것이다.

정부의 지분 투자 검토 소식이 전해지자마자 7% 이상 급등했다. 8월 들어서만 28% 상승하며 약 240억 달러(33조 원)의 시가총액을 추가했다. 이는 부진했던 2분기 실적 발표와 트럼프 대통령의 비판으로 급락했던흐름을 완전히 뒤집은 것이다.

특히 인텔 주가가 향후 12개월 예상 이익의 53배수준에 거래되고 있어, 2002년 초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20여 년 만에 닷컴 버블 시절 수준으로 기업가치가 부풀어오른 것이다.

호재에도 불구하고 인텔의 근본적인 경영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나온다. 라퍼텡글러 인베스트먼트의 낸시 텡글러 CEO는 "기술경쟁에서 뒤처진 상황에서 단순한 비용 절감으로는 성장이 어렵다"며 "실적 전망 자체가 불확실해 밸류에이션 평가가 힘들다"고우려를 표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칩 제조는 세계화·전문화돼있어 정부 개입은 실패하기 쉽다"며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인텔"이라고지적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인텔의 이번 반등은 미국이 반도체 패권 경쟁에서 정부 차원의 직접적인 개입도 마다하지 않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사건으로 평가된다. 향후 이러한 정책이 글로벌 반도체 생태계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있다.

5. 엔비디아 = 미중 무역 갈등과 수출 규제 직격탄 하락

25일 기준, 177.99달러에 거래되고 있으며, 52주 범위는 86.62~184.48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엔비디아의시가총액이 3.4조 달러를 돌파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엔비디아 주가 하락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미중 무역 갈등과 AI 반도체 수출 규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압박하면서 저가 반도체 수출까지 추가로 통제하고 나선 것이 주가 폭락 방아쇠가됐다.

특히 엔비디아는 앞서 15일 H20 그래픽반도체(GPU)를 중국을 비롯해 일부 국가들에 수출할 때 수출면허를 정부에서 받아야 한다면서 수출 차질에 따른 비용 55억달러를 계상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엔비디아의 실질적인매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는 중대한 악재다.

시장에서는 AI 산업 전반에 대한 거품론이 제기되고 있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가 최근 기술 전문 매체 더버지와의 인터뷰에서 "투자자들이 AI에 과도하게 흥분해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AI 기업들의 가치가 이미 통제 불능 수준"이라고 밝혔다.

시장의 단기적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AI 반도체 시장의 장기적 성장 전망은 여전히 긍정적이다. 2025년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약 705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이는 지난해에 비해 12.7%의성장을 나타낸다.

58명의 애널리스트는 매수 의견, 1명은 매도의견을 제시했으며, 전반적인 투자의견 등급은 적극 매수로 평가되고 있다. 엔비디아의 12개월 목표주가 평균은 192.05달러로 현재 주가 대비 상승 여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글로벌에픽 CP /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1.30 ▼28.56
코스닥 800.45 ▲2.43
코스피200 429.84 ▼4.05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427,000 ▲422,000
비트코인캐시 769,000 ▲1,500
이더리움 6,253,000 ▲47,000
이더리움클래식 30,110 ▼40
리플 4,092 ▲10
퀀텀 4,105 ▼12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499,000 ▲572,000
이더리움 6,255,000 ▲37,000
이더리움클래식 30,180 ▲70
메탈 991 ▲4
리스크 534 ▲1
리플 4,096 ▲10
에이다 1,189 ▲9
스팀 181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460,000 ▲590,000
비트코인캐시 769,000 ▲2,000
이더리움 6,250,000 ▲40,000
이더리움클래식 30,080 ▲60
리플 4,096 ▲13
퀀텀 4,111 ▼160
이오타 27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