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8.28(목)

카카오, 11월 'AI 에이전트' 출격으로 1.2조원 신사업 문 연다

목표가 8만7천원으로 상향... "카톡 개편+AI 구독모델로 2026년 영업이익 55% 급증 전망"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8-27 15:26:06

카카오, 11월 'AI 에이전트' 출격으로 1.2조원 신사업 문 연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카카오가 11월 출시 예정인 AI 에이전트 서비스를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7만8000원에서 8만7000원으로 11.5% 상향 조정받았다.
SK증권은 27일 발표한 분석보고서에서 카카오를 업종 내 최선호주(Top Pick)로 제시하며 이같이 평가했다.

카카오의 AI 에이전트는 OpenAI와 공동 개발한 서비스로, 전 국민이 사용하는 카카오톡 메신저 플랫폼을 기반으로 상용화된다. 단순한 챗봇 기능을 넘어 카카오 생태계 내 다양한 서비스(쇼핑, 결제, 예약, 콘텐츠 등)를 연결하는 통합 플랫폼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이 차별화 포인트다.

AI 에이전트 수익모델, 4개 축으로 구성

SK증권은 AI 에이전트의 수익을 ▲중개수수료 ▲광고매출 ▲구독료 ▲B2B 서비스 등 4개 영역으로 분석했다. 특히 구독 서비스가 핵심 수익원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베이스 케이스 시나리오에서 초기 에이전트 채택률을 5%에서 시작해 1년 후 20%까지 확대되고, 구독 전환율 15%, 월 구독료 5000원을 적용하면 2026년 1056억원, 2027년 2129억원의 매출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글로벌 AI 유료화 사례를 참고해 AI 사업에 P/E 21배를 적용하면 카카오의 AI 에이전트 사업 가치는 1.2조원에 달한다는 평가다. 이는 현재 카카오 시가총액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규모다.

AI 에이전트 출시에 앞서 9월 계획된 카카오톡 지면 개편도 주목할 만하다. 1탭(친구)과 3탭(오픈채팅)을 피드화해 숏폼 콘텐츠를 전개한다는 계획이다.

체류시간 정체에 시달리던 카카오톡이 피드형 지면으로 전환하면서 글로벌 플랫폼들의 성공 사례를 재현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된다. 인스타그램 릴스, 유튜브 숏츠, 스냅챗 스포트라이트 등은 모두 숏폼 콘텐츠 도입 후 체류시간과 광고매출이 크게 증가했다.

SK증권은 지면 개편 후 1년간 광고매출을 1482억원으로 추정했다. 피드형 지면의 특성상 스크롤 시 노출되는 광고 인벤토리가 급증하고, 네이티브 광고 등 신규 광고상품 도입으로 수익 확대가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카카오톡 지면 개편과 AI 에이전트 출시 효과를 반영한 카카오의 2026년 영업이익은 1조432억원(+55.3% YoY)으로 전망된다. 2027년에는 지면 안정화와 에이전트 이용자 증가에 따라 영업이익이 1조3531억원(+29.7%)으로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현재 DAU 4930만명을 보유한 카카오톡의 압도적 사용자 기반이 AI 서비스 확산의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대한민국 국민의 95.4%가 사용하는 메신저에서 AI 에이전트가 일상화되면 국내 AI 대중화를 이끄는 게임체인저 역할을 할 수 있다는 평가다.

카카오는 연내 온디바이스 AI도 출시할 계획이다. 기기 자체에서 AI를 구동하는 방식으로 개인정보 보호 수준을 높이면서 동시에 클라우드 API 호출 대비 30~50%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21억 파라미터 온디바이스 모델을 활용하면 대규모 추론 모델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어 '모두의 AI' 서비스를 위한 필수 기술로 평가된다. 남양주에 구축 중인 제2 데이터센터(6000억원 규모)와 함께 AI 인프라 경쟁력도 강화하고 있다.

남효지 SK증권 애널리스트는 "카카오의 AI 에이전트는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닌 플랫폼 생태계 전반의 혁신을 의미한다"며, "전 국민이 사용하는 카카오톡을 통해 AI가 일상에 자연스럽게 스며들면서 구독, 광고, 커머스 등 모든 영역에서 시너지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SK증권은 카카오에 대해 매수 의견을 유지하며 목표주가 8만7000원(상승여력 33.8%)을 제시했다. 9월 If Kakao 행사에서의 AI 에이전트 서비스 형태 공개와 카카오톡 개편이 주요 관전 포인트가 될 전망이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7.16 ▲7.80
코스닥 801.72 ▲0.60
코스피200 430.31 ▲0.90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6,156,000 ▼15,000
비트코인캐시 776,500 ▼4,500
이더리움 6,456,000 ▼23,000
이더리움클래식 30,420 ▼210
리플 4,205 ▲2
퀀텀 4,021 ▲2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6,162,000 ▼44,000
이더리움 6,453,000 ▼27,000
이더리움클래식 30,440 ▼180
메탈 1,017 0
리스크 540 ▼1
리플 4,206 ▲1
에이다 1,208 ▼8
스팀 185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6,000,000 ▼140,000
비트코인캐시 775,000 ▼5,500
이더리움 6,455,000 ▼30,000
이더리움클래식 30,370 ▼300
리플 4,209 ▲3
퀀텀 4,051 ▲75
이오타 27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