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8.29(금)

"1,000억 베팅으로 승부수 던진다"... 로보티즈, 피지컬 AI 시대 선점 나서

우즈베키스탄 증설로 액추에이터 생산 7배 확장, 휴머노이드 대량생산 기반 구축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8-29 09:54:44

"1,000억 베팅으로 승부수 던진다"... 로보티즈, 피지컬 AI 시대 선점 나서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로봇 부품 전문기업 로보티즈가 1,000억원 규모의 대규모 유상증자를 통해 피지컬 AI 시대를 겨냥한 공격적 투자에 나선다. 현재 연간 30만대 수준인 액추에이터 생산능력을 2027년 210만~300만대로 7배 이상 늘리겠다는 야심찬 계획이다.

로보티즈는 28일 장 마감 후 1,000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공시했다. 증자비율은 구주 1주당 0.103주로, 예정발행가는 74,100원이다. 11월 4일 발행가격이 확정되며, 신주 상장 예정일은 12월 1일이다.

조달 자금은 시설자금 600억원, 운영자금 400억원으로 구성된다. 시설자금은 우즈베키스탄 신공장 건설에 집중 투입되며, 데이터팩토리 구축 25억원, 정밀 가공시설 확충 350억원, 모터 생산시설 확충 75억원, 로봇 완제품 생산 150억원 등의 용도로 활용될 예정이다.

투자 일정은 3단계로 나뉜다. 2026년 288억원을 투입해 데이터팩토리와 정밀 가공시설, 휴머노이드용 모터 생산시설을 확충하고, 2028년에는 로봇 완제품 생산 확충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우즈베키스탄 선택한 배경과 전략적 의미

로보티즈가 해외 생산기지로 우즈베키스탄을 선택한 배경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했다. 로봇 산업의 최대 수요처인 자동차 산업이 견고하고, 젊은 인구와 저렴한 인건비, 정부의 적극적 지원 등이 주요 고려사항이었다.

특히 데이터팩토리 구축은 단순한 생산능력 확장을 넘어선 전략적 투자다. 로봇 관제 및 Human-Robot Interaction 데이터를 수집해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구축하겠다는 구상으로, 하드웨어 제조업체에서 데이터 기반 AI 기업으로의 전환 의지를 보여준다.

현재 연간 30만대 수준인 액추에이터 생산능력은 2026년 자금 투입 후 2027년에 약 210만~300만대로 대폭 확장된다. 이는 향후 휴머노이드 로봇의 본격적인 대량생산 시대에 대비한 선제적 투자로 해석된다.

키움증권 김학준 애널리스트는 "최근 휴머노이드를 비롯해 의약 부문, 산업 부문향 액추에이터 고객사들이 양산레벨 적용이 늘어나고 있다"며 "현재 약 10개가 넘는 업체들이 양산레벨로 전환되었고 추가적으로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CAPA 증설은 필수적 요소"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로보티즈의 액추에이터는 2014년부터 2024년까지 연평균 27%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꾸준한 상승세를 보여왔다.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이 본격화되면서 액추에이터 수요는 더욱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한투자증권 최승환 연구위원은 "증자 충격은 단기에 그칠 예정"이라며 "휴머노이드 부품 공급망 핵심 기업으로 재평가가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그는 "피지컬 AI 시대의 가속성장을 위한 필수적인 유증"이라며 긍정적 평가를 내렸다.

실제로 대규모 증자에도 불구하고 로보티즈 주가는 최근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8월 28일 기준 93,600원으로, 연초 대비 253% 상승한 상태다. 시장에서는 증자 자체보다는 증자를 통한 미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로보티즈는 2023년과 2024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지만, 2025년부터 흑자 전환이 예상된다. 신한투자증권은 2025년 매출액 404억원(전년 대비 34.4% 증가), 영업이익 10억원을 전망했다. 2026년에는 매출액 625억원, 영업이익 70억원으로 본격적인 성장세에 접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이 본격화되는 2027년부터는 더욱 가파른 성장이 기대된다. 매출액 942억원, 영업이익 158억원으로 영업이익률 16.8%까지 개선될 전망이다.

로보티즈의 이번 1,000억원 증자는 단순한 설비 확장을 넘어 피지컬 AI 시대의 핵심 인프라를 선제적으로 구축하겠다는 전략적 선택으로 평가된다. 단기적인 주가 희석 부담은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의 폭발적 성장과 함께 새로운 도약의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6.01 ▼10.31
코스닥 796.91 ▼1.52
코스피200 430.12 ▼1.69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3,054,000 ▼882,000
비트코인캐시 744,000 ▼6,000
이더리움 6,053,000 ▼63,000
이더리움클래식 29,070 ▼170
리플 3,983 ▼24
퀀텀 3,674 ▼3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3,021,000 ▼879,000
이더리움 6,050,000 ▼67,000
이더리움클래식 28,940 ▼250
메탈 993 ▼10
리스크 525 ▼3
리플 3,979 ▼24
에이다 1,142 ▼12
스팀 179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3,120,000 ▼740,000
비트코인캐시 743,000 ▼6,000
이더리움 6,055,000 ▼60,000
이더리움클래식 29,010 ▼150
리플 3,986 ▼19
퀀텀 3,683 ▼22
이오타 26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