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9.11(목)

케이팝 데몬 헌터스, 넷플릭스 역대 1위 등극하며 K-컬처 신드롬 점화

IP 가치 1조원 추산... 엔터주 재평가 신호탄 되나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9-11 11:53:13

케이팝 데몬 헌터스, 넷플릭스 역대 1위 등극하며 K-컬처 신드롬 점화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애니메이션 한 편이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역대 최고 조회수를 기록하며 K-컬처의 새로운 전환점을 만들어내고 있다.

IBK투자증권이 11일 발표한 엔터테인먼트 업종 리포트에 따르면,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9월 초 기준 누적 시청 수 2.9억회를 돌파하며 오징어게임 시즌1(2.7억회)을 제치고 넷플릭스 역대 최고 조회수 작품으로 등극했다. 현재 추세로는 다음 주 3억회 달성이 확실시되는데, 이는 넷플릭스 역사상 최초가 될 전망이다.

작품의 성공은 음원 차트에서도 입증되고 있다. 케데헌 OST 앨범은 빌보드 200 차트 2위를 기록했고, 수록곡 'Golden'은 빌보드 핫 100에서 3주 연속 1위, 영국 오피셜 싱글차트에서는 5주 연속 1위에 오르며 장기간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가상 그룹 헌트릭스의 스포티파이 월 청취자 수가 5,000만명을 돌파하며 BTS, 블랙핑크 등 기존 K-pop 아티스트들의 최고 기록을 뛰어넘었다는 사실이다. 이는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실제 아티스트보다 더 큰 글로벌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케데헌의 성공은 단순한 콘텐츠 흥행을 넘어 K-컬처 전반의 확산으로 이어지고 있다. 구글 트렌드에서 'Korea Travel'과 'Korean Food' 검색량이 8월 중순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한 후 북미, 유럽 지역의 한식당 예약률이 급증했다. 농심, GS25, 카카오 등 국내 기업들도 케데헌 IP와의 콜라보 제품을 연이어 출시하며 마케팅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넷플릭스의 설문조사 결과도 이 같은 현상을 뒷받침한다. K-콘텐츠 시청자의 한국 방문 의향은 72%로 비시청자(37%) 대비 두 배 높았다. 작품 속에 등장하는 떡볶이, 김치찌개, 라면 등이 단순한 소품을 넘어 문화 확산의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김유혁 IBK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케데헌의 흥행은 글로벌 K-pop 팬덤 확대로 이어지며 2026~2027년 엔터사 실적 상승에 기여할 전망"이라며 "공연은 음원이나 SNS 등 온라인 채널로 형성된 팬덤이 충족하기 어려운 관계형성 욕구를 충족시켜 팬들의 소비를 강하게 자극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엔터 4사의 2024년 북미, 유럽 지역 공연 모객 수는 100만명으로 유효시장 대비 시장침투율이 0.9%에 불과해 팬덤 확대를 통한 성장 여지가 상당하다는 분석이다.

케데헌의 IP 가치도 주목받고 있다. 넷플릭스는 이미 미국에 상표권을 출원했으며 IP를 활용한 굿즈 사업을 예고했다. 속편 제작뿐 아니라 실사 영화, 뮤지컬, 콘서트 등 다양한 프로젝트가 추진될 예정으로, 전체 IP 가치는 약 1조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케데헌 더 싱어롱 상영회는 이 같은 가능성을 미리 보여줬다. 8월 23~24일 북미 1,700개 극장에서 개최된 OST 따라 부르기 상영회는 1,100개 타임이 매진되며 이틀간 1,920만 달러(약 267억원)의 수입을 올려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
IBK투자증권은 이 같은 K-컬처 확산이 엔터테인먼트 업종 전체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업종 의견 '비중확대'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최선호주로는 하이브(목표주가 37만원), 차선호주로는 SM엔터테인먼트(목표주가 19만원)와 디어유(목표주가 6.7만원)를 제시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344.20 ▲29.67
코스닥 834.76 ▲1.76
코스피200 454.00 ▲3.95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842,000 ▼158,000
비트코인캐시 832,500 ▼2,500
이더리움 6,173,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9,880 ▲10
리플 4,193 ▲13
퀀텀 3,619 ▼1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795,000 ▼258,000
이더리움 6,167,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9,860 ▼10
메탈 1,007 ▼4
리스크 530 ▲2
리플 4,194 ▲14
에이다 1,235 ▼1
스팀 187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870,000 ▼80,000
비트코인캐시 831,000 ▼4,500
이더리움 6,180,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9,860 0
리플 4,194 ▲14
퀀텀 3,646 0
이오타 27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