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도지사는 각 시군에 긴급 공문을 발송하고, ▲부단체장 중심 상황판단회의를 통한 현장 대응력 확보 ▲호우 피해지역 2차 피해 예방을 위한 사전 정비 및 점검 ▲기상특보에 따른 재난예경보 시스템 활용, 통제 및 대피 ▲지하차도 사전통제 및 침수지역 차량 운행 금지 ▲강풍 시 공사장 타워크레인 작업 중지 및 옥외광고물, 가로수 점검 등 선제 조치를 지시했다.
이번 비상 1단계 발령으로 도 재난안전대책본부 자연재난대책팀장이 상황관리총괄반장을 맡고, 풍수해 관련 공무원 35명이 비상근무에 돌입한다. 상황에 따라 비상 2단계 격상도 검토 중이며, 발령 시 한국도로공사, 한국전력공사 등 유관기관도 추가 근무에 참여해 도로 침수, 정전 등 현장 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지원할 계획이다.
도는 지난 10일 하천과 야영장을 중심으로 전담 조직(TF)을 구성하고, 위험시설별 맞춤형 재난 대응 개선안을 마련했다. 단기적으로는 하천 중점관리지역 확대와 야영장 이용객 대상 행동요령 교육을 강화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중앙부처와 협력해 제도적 장치 마련도 추진할 예정이다.
[글로벌에픽 이정훈 CP / smedail@daum.net]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