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9.14(일)

[12일 마감]코스피, 9거래일 연속 상승으로 3,400선 코앞

SK하이닉스 HBM4 양산 소식에 반도체株 급등···외국인·기관 5일째 쌍끌이 매수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9-14 12:33:03

[12일 마감]코스피, 9거래일 연속 상승으로 3,400선 코앞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국내 주식시장이 9거래일 연속 상승 행진을 이어가며 코스피가 사상 최고가를 연일 경신하고 있다. 특히 SK하이닉스의 세계 최초 HBM4 양산 체제 구축 발표가 반도체 섹터 전반의 상승을 이끌면서 코스피 3,400포인트 돌파가 눈앞에 다가왔다.

12일 코스피는 전일 대비 51.56포인트(1.54%) 오른 3,395.54로 마감했다. 이는 3일 연속 사상 최고가로, 3,400포인트까지는 단 4.46포인트만 남겨둔 상황이다. 코스닥 역시 12.36포인트(1.48%) 상승한 847.08로 장을 마쳤다.

이날 상승세의 배경에는 미국발 호재가 자리잡고 있다. 전날 밤 발표된 미국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에 부합하면서(전월 대비 0.4%, 근원 CPI 0.3%) 인플레이션 우려가 완화됐다. 여기에 주간 실업급여 신청자 수가 26만3천명으로 4년래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장기 금리가 4월 이후 처음으로 4%를 하회했고, 이는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 심리를 크게 자극했다.

주식시장을 이끈 주역은 단연 반도체 업종이었다. SK하이닉스는 세계 최초로 HBM4 양산 체제 구축 소식을 발표하며 7.0% 급등했다. 이는 9거래일 연속 상승으로,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의 기술 우위를 재확인시켜줬다. 삼성전자 역시 2.7% 오르며 52주 신고가를 경신하는 등 반도체 대장주들이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흥미로운 점은 그동안 시장을 주도했던 조선·방산·원전 등의 종목들이 이날은 상대적으로 조용한 모습을 보인 가운데, 새로운 테마주들이 급부상했다는 것이다. 카카오(9.4%), SK스퀘어(8.4%), 고려아연(14.0%) 등이 코스피 상승에 기여했고, 코스닥에서는 제약바이오 섹터가 두각을 나타냈다. 코오롱티슈진(9.9%), 케어젠(14.8%), 보로노이(12.6%) 등이 큰 폭 상승했다.

특별히 주목받은 업종들도 있었다. 음식료 업종에서는 '케이데헌(K-라면) 효과'와 라면 수출 호조에 힘입어 농심이 7.0% 상승했고, 원재료 납품업체인 사조동아원은 23.6%나 급등했다. 스테이블코인 관련주들도 시가총액 3위 가상자산인 리플의 국내 진출 소식에 다날(1.8%), 헥토파이낸셜(13.9%) 등이 오름세를 보였다.

OpenAI의 한국 사무소 개소식과 국내 기업과의 협력 시사도 AI 챗봇 관련주에 호재로 작용했다. 솔트룩스(7.3%), 코난테크놀로지(5.2%) 등이 상승했다.

수급 측면에서는 외국인과 기관투자자가 5거래일 연속 쌍끌이 순매수를 지속하며 상승세를 주도하고 있다. 반면 개인투자자들은 9거래일 연속 상승하는 내내 매도세를 이어갔다. 특히 최근 4거래일 동안 하루에 1조원 이상씩 순매도하며 나흘간 총 6조5천억원을 순매도했다.

주목할 점은 외국인 지분율이 32.2%까지 상승해 2020년 이후 평균(32.4%)에 근접했다는 사실이다. 이는 해외 자금의 국내 주식시장 유입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앞으로의 일정도 주목된다. 13일에는 미국 미시간대학교 소비자심리지수와 기대인플레이션 지수가 발표되고, 15일부터는 뉴욕증권거래소(NYSE) 관계자들의 한국 방문과 함께 '코리아 인베스트먼트 위크 2025(KIW 2025)'가 개최된다. 이러한 국제적 관심이 국내 주식시장에 추가적인 상승 동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강진혁 신한투자증권 선임연구원은 "코스피가 9거래일 연속 상승하면서 3,400포인트 돌파가 임박한 상황"이라며 "특히 SK하이닉스의 HBM4 양산 체제 구축 발표가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한국의 기술 우위를 재확인시켜주면서 외국인 자금 유입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 "외국인 지분율이 32.2%로 2020년 이후 평균 수준에 근접한 것은 해외 투자자들이 한국 시장의 펀더멘털을 재평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며 "당분간 외국인과 기관의 쌍끌이 매수세가 지속되면서 상승 모멘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395.54 ▲51.34
코스닥 847.08 ▲12.32
코스피200 462.74 ▲8.74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436,000 ▲119,000
비트코인캐시 820,000 ▼500
이더리움 6,443,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9,950 ▼30
리플 4,269 ▼9
퀀텀 3,586 ▼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389,000 ▼1,000
이더리움 6,439,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9,980 ▼40
메탈 1,034 ▼2
리스크 539 ▼4
리플 4,271 ▼11
에이다 1,268 ▼1
스팀 191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420,000 ▲110,000
비트코인캐시 818,500 ▼2,000
이더리움 6,440,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29,950 ▲10
리플 4,270 ▼8
퀀텀 3,592 0
이오타 27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