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광역시청 본관 전경
이번 사업은 상용화 단계에 가까운 양자기술을 수요기관에 실증하고 지역특화산업과 연계해 양자 융합 및 전환 수요를 발굴함으로써 지역 양자 생태계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특히 자치단체가 직접 펀딩을 통해 참여하는 만큼 양자기술의 실증뿐만 아니라 양자 생태계 활성화에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인천시는 ‘양자·바이오 센싱솔루션 실증 및 컨설팅’을 주제로 참여한다. 초민감 양자 센싱 기술(단일광자검출기)을 활용해 체액에서 검출한 물질(바이오마커)로 질병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정밀 의료형 액체생검 솔루션으로 수요기관 맞춤형 장비를 개발하고 성능을 평가해 최종적으로는 장비의 국산화 및 상용화를 추진한다.
또한, 지역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바이오·소부장 기업과 인천보건환경연구원을 대상으로 기관 특성에 맞는 양자 기술 도입·확산 컨설팅을 제공해 양자 생태계의 저변을 넓히고 양자·바이오 융합 클러스터의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컨소시엄 참여기관 모두가 인천에 본사(지사)·연구소를 둔 만큼 지역 주도형 사업 모델로서 더욱 의미가 크다.
총사업비는 2년간(2025~2026년) 14억 9,300만 원이며, 국비 9억 원·시비 2억 7천만 원·민간 3억 2,300만 원이 투입된다.
인천시는 이번 사업 선정에 앞서 양자산업 기반 조성에 선제적으로 나서며 미래 전략산업 육성을 위해 박차를 가해왔다.
지난해 연세대학교 송도 국제캠퍼스에 IBM 127큐빗 양자컴퓨터가 도입되며 연구인프라가 마련됐고 인천시는 연세대와 함께 글로벌 양자 기업인 디웨이브 퀸텀과 3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또한 캐나다 및 핀란드, 프랑스의 양자기업들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며 양자 네트워크를 확장해 왔고 올해 7월에는 양자산업 전담팀 신설 및 지원 조례 제정으로 제도적 기반도 강화했다. 시는 이를 토대로 예산 확대와 바이오산업 연계를 추진하며, 정부 양자 클러스터 지정에도 도전할 계획이다.
[글로벌에픽 김민성 CP / Kmmmm112@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