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화재가 이 같은 사회적 과제 해결에 나섰다. 삼성화재는 17일 지난 12일 경기도 여주시 방재시험연구원에서 개인형 전동 이동장치(Personal Mobility, PM) 보관·충전 구역의 실물 화재 실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실험은 삼성화재가 지난 4월 출범한 민관학 협력 플랫폼 '사회안전망 The LINK'의 대표적인 성과물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화재보험협회 등 관련 전문기관들이 참여해 실질적인 안전대책 마련을 위한 공동 연구를 진행했다.
최근 도심 곳곳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전동킥보드와 전기자전거. 편리함 뒤에는 안전 사각지대가 존재한다. 공동주택이나 상가건물 외벽에 안전조치 없이 설치되는 PM 보관·충전 구역이 급증하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이런 시설에서 배터리 화재가 발생할 경우 외벽 마감재를 타고 빠르게 확산돼 대형 화재로 번질 위험성이 매우 높다는 점이다.
실험 결과는 명확했다. 별다른 방호대책이 없는 일반적인 보관소에서는 화염이 외벽 단열재를 타고 순식간에 번져나갔다. 반면 불연재로 제작된 보관소를 설치하고 외벽과 적정 거리를 두는 등 안전조치를 적용한 경우에는 화염 확산이 크게 지연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적절한 방호대책만 마련되면 PM 보관소 화재로 인한 피해를 현저히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최영화 삼성화재 기업안전연구소 소장은 "실질적인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현장에서 작동할 수 있는 안전 대책이 제도로 자리 잡아야 한다"며 "삼성화재는 앞으로도 연구와 협력을 통해 보다 안전한 생활 환경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실험에 참여한 서울시립대 방재공학과 함승희 교수도 "PM 보관소의 방호대책이 화재 피해 확산을 막는 데 효과적임을 실험으로 입증했다"며 "관련 안전기준 정비와 제도 개선이 조속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삼성화재는 '사회안전망 The LINK'와 함께 '안전을 잇다, 내일을 바꾸다'라는 슬로건 아래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고 있다. 이번 실험은 단순한 연구에 그치지 않고 실제 안전기준 정립과 제도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개인형 전동 이동장치의 대중화는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다. 하지만 편리함과 함께 안전성도 확보되어야 진정한 의미의 발전이라 할 수 있다. 삼성화재의 이번 연구 성과가 보다 안전한 도시 환경 조성의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