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비 문화유산’은 건설·제작·형성된 지 50년이 지나지 않은 근현대 문화유산 중 장래 ‘등록 문화유산’으로서 보존 가치가 높은 것을 선정해 훼손·멸실을 막고, 지역사회 미래 문화자원의 기반 마련을 위해 도입된 제도다.
지난 11일(화) 국가유산청은 우리 사회 근현대사의 주요 인물, 사건, 상징물이 담긴 10건의 유산을 첫 ‘예비 문화유산’으로 선정했다. 이 가운데 체육공단이 신청한 ‘88서울올림픽 굴렁쇠와 의상 스케치’가 포함됐다. ‘굴렁쇠’는 우리나라 첫 올림픽을 상징하는 유산으로, 세계 평화와 화합의 가치를 전한 상징물로 인정받고 있다.
88서울올림픽 개회식에서 ‘정적’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된 굴렁쇠 퍼포먼스에서는, 침묵 속에서 한 어린이가 굴렁쇠를 굴리며 입장하는 장면이 연출됐다. 이 모습은 대립과 갈등을 넘어 세계가 평화로 화합하자는 메시지를 담아 세계인의 큰 주목을 받았다. 퍼포먼스에 참여했던 ‘굴렁쇠 소년’ 윤태웅 씨는 지난 2005년 9월 15일, 당시 사용했던 굴렁쇠를 체육공단 서울올림픽기념관에 기증했다.
하형주 이사장은 "굴렁쇠와 의상 스케치의 예비 문화유산 선정은 스포츠 유산의 가치를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라며, “2026년 개관 예정인 국립스포츠박물관은 서울올림픽기념관을 포함해 통합 운영할 예정으로, 88서울올림픽의 정신을 계승하고 우리나라 스포츠의 자랑스러운 역사를 재조명하는 문화 공간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전했다.


[글로벌에픽 신승윤 CP / kiss.sfws@gmail.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