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1.17(월)

[Weekly ETF]미국 바이오테크로 '쏠림'...1주일 새 10억달러 순유입

헬스케어·희토류·금 채굴 ETF 강세...AI 주 과열 속 포트폴리오 재조정 움직임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11-17 14:31:07

[Weekly ETF]미국 바이오테크로 '쏠림'...1주일 새 10억달러 순유입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미국 바이오테크 섹터로 투자금이 급격히 유입되며 ETF 시장의 자금 흐름이 재편되고 있다. 그간 AI 반도체주 중심으로 몰렸던 투자 심리가 헬스케어와 원자재 섹터로 옮겨가는 모습이다.

키움증권 리서치센터는 17일 발간한 'Global ETF 주간 리포트'를 통해 지난 주(11월 7~14일) 미국 대표 ETF들이 중소형주 중심으로 하락 마감했다고 분석했다. SPY는 0.1% 상승에 그쳤고, QQQ는 0.1% 하락했으며, 특히 중소형주 대표 지수인 IWM은 1.7% 급락했다.

반면 섹터별로는 헬스케어와 에너지, 원자재 섹터가 강세를 보였다. 글로벌 ETF 주간 수익률 상위권은 헬스케어 관련 상품들이 장악했다. 'Simplify Health Care ETF(PINK)'가 8.8%로 1위를 차지했고, 'iShares US Pharmaceuticals ETF(IHE)'는 5.9%, 'Invesco Dorsey Wright Healthcare Momentum ETF(PTH)'는 5.6% 상승했다.

특히 바이오테크 대표 ETF인 XBI는 1주일간 자금 유입 강도가 15.9%에 달하며 9억7,700만달러의 순유입을 기록했다. 누적 자금유입액도 큰 폭으로 증가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바이오 섹터로 쏠리고 있음을 보여줬다.
희토류 7.7%, 금 채굴 6% 급등...원자재 재조명

원자재 섹터도 강세를 나타냈다. 'VanEck Rare Earth & Strategic Metals ETF(REMX)'는 7.7% 상승하며 2위에 올랐다. 금 채굴 관련 ETF들도 5~7%대 수익률을 기록했다. 'WisdomTree Efficient Gold Plus Gold Miners Strategy ETF(GDMN)'는 7.1%, 'Sprott Gold Miners ETF(SGDM)'는 6.0%, 'iShares MSCI Global Gold Miners ETF(RING)'는 5.8% 상승했다.

은 채굴 ETF인 'Sprott Silver Miners & Physical Silver ETF(SLVR)'도 6.2% 올랐으며, 리튬·2차전지 ETF는 4.7%, 천연가스 ETF는 4.4% 상승하는 등 원자재 전반에 걸친 강세가 나타났다.

키움증권은 지난 주 주요 지수의 상승폭 반납 배경으로 AI 관련주의 조정을 꼽았다. 주 초반 정부 셧다운 종료 기대감 속 반등했으나, 이후 네오클라우드 업체들의 실망스러운 실적과 소프트뱅크의 엔비디아 지분 매각 소식, 마이클 버리의 'AI 회계버블론', 12월 금리인하 기대감 후퇴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다만 리서치센터는 "이는 그간의 AI 주 과열 인식 속 숨고르기 과정으로 판단한다"며 "AMD와 AMAT의 긍정적인 AI 수요와 장기 전망 코멘트를 감안할 때 산업 펀더멘탈은 여전히 견조하다"고 평가했다.

김진영 키움증권 글로벌리서치팀 애널리스트는 "이번 주 엔비디아 실적발표(19일)가 향후 AI 섹터 방향성을 가늠할 주요 지표가 될 것"이라며 "미국 정부 셧다운이 종료된 만큼 주요 경제지표 발표 재개 여부와 결과, 특히 20일 발표 예정인 9월 고용보고서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레버리지 및 인버스 ETF 시장에서는 암호화폐 관련 인버스 상품들이 강세를 보였다. 'T-REX 2X Inverse MSTR Daily Target ETF(MSTZ)'는 42.5%, 'ProShares UltraShort Bitcoin ETF(SBIT)'는 19.9%, 'ProShares UltraShort Ether ETF(ETHD)'는 19.4% 상승했다.

반면 바이오테크 레버리지 ETF인 'Direxion Daily S&P Biotech Bull 3X ETF(LABU)'는 13.7%, 헬스케어 레버리지인 'Direxion Daily Healthcare Bull 3X ETF(CURE)'는 11.7% 올랐다.

국내 ETF도 바이오 열풍...KoAct 바이오헬스케어 18% 급등

국내 ETF 시장도 바이오 섹터가 강세를 주도했다. 'KoAct 바이오헬스케어액티브'가 18.0%, 'TIMEFOLIO K 바이오액티브'가 14.8%, 'HANARO 바이오코리아액티브'가 14.0% 상승하며 수익률 상위권을 차지했다.

반면 양자컴퓨팅 관련 ETF들은 11~13%대 하락하며 조정을 받았고, 테슬라 밸류체인 ETF도 10% 하락하는 등 최근 급등했던 테마주들의 조정이 나타났다.

자금 흐름 측면에서는 단기 만기 채권 ETF로 자금이 집중됐다. 'KODEX 26-12 금융채(AA-이상)액티브'에 2,447억원이 유입되며 유입강도 96%를 기록했고, 'KODEX 200 타겟위클리커버드콜'에는 1,700억원이 순유입됐다.

김 애널리스트는 "AI 과열 우려 속 포트폴리오 재조정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며 "다만 산업 펀더멘탈이 견조한 만큼 이번 주 엔비디아 실적과 미국 주요 경제지표, 홈디포·월마트 등 소매업체 실적을 확인한 후 투자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089.25 ▲77.68
코스닥 902.67 ▲4.77
코스피200 576.65 ▲13.22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2,496,000 ▲197,000
비트코인캐시 737,500 ▲2,500
이더리움 4,762,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2,520 ▲220
리플 3,387 ▲14
퀀텀 2,615 ▲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2,469,000 ▲295,000
이더리움 4,763,000 ▲19,000
이더리움클래식 22,460 ▲160
메탈 656 ▲4
리스크 380 ▲3
리플 3,388 ▲16
에이다 737 ▲2
스팀 116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2,470,000 ▲180,000
비트코인캐시 738,500 ▲2,000
이더리움 4,763,000 ▲18,000
이더리움클래식 22,500 ▲180
리플 3,386 ▲13
퀀텀 2,606 0
이오타 19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