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7.19(토)

고려대학교, 강재우 교수팀 'AI 기술 활용 중증 신경질환 치료제 선도물질 도출'

AI를 통해 1~2년 소요되는 시간을 10주로 단축

황해운 키즈TV뉴스 CP

2020-04-28 15:44:57

[이미지=고려대학교]

[이미지=고려대학교]

[키즈TV뉴스 황해운 기자]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강재우 교수팀이 AI 기술을 활용하여 중증 신경질환 치료제 선도물질을 도출했다고 밝혔다.

고려대 강재우 교수팀과 혁신신약개발 바이오벤처 '엘마이토 테라퓨틱스'가 올해 2월 공동연구협약을 맺고 연구를 시작한 후 10주 만에 중증 신경질환 치료 선도물질 도출에 성공한 것이다.

강재우 교수팀이 자체적으로 구축한 AI 신약개발 플랫폼을 이용해 도출한 상위 50개 약물 중 엘마이토 테라퓨틱스가 질환표적 단백질 3차원 구조기반 활성 예측과 물성 예측 결과로 23개 약물을 선별했고, 먼저 11개 약물에 대해 양철수 한양대 교수팀이 세포활성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결과 11개 약물에서 모두 활성이 확인되었고 특히, 그 중 2개의 약물은 나노몰 수준의 높은 활성이 나타났다.

통상적으로 표적이 확인된 후 선도물질 도출까지는 약 1~2년 정도 소요된다. 이번 연구결과는 AI를 활용해 10주로 단축한 성공 사례여서 그 의미가 크다. 더욱 고무적인 것은 실험된 11개 약물에 대해 모두 세포 수준에서 활성이 확인됐다는 것이다. 이것은 강재우 교수팀의 AI 플랫폼이 전통적인 표적 중심의 신약개발에서 벗어나 세포 내 전사체 수준에서 약물의 효과를 예측하도록 학습되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즉, 질병에 걸린 세포내 유전자 발현 패턴을 정상 세포내 유전자 발현 패턴으로 유도하는 약물을 찾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서 단백질 수준에서 활성을 뛰어넘어 세포 수준에서 활성을 갖는 약물을 바로 도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총 10주간의 기간 중 AI가 약물을 도출하는데 2주가 걸렸고 약물을 준비하고 세포수준에서 저해활성 결과까지 확인하는데 나머지 8주가 소요됐다.
강재우 고려대 교수는 “지난 4년간 국제대회를 통해 공인받은 요소 기술들을 묶어 플랫폼화한 우리 AI 신약개발 플랫폼이 이번 성공 사례를 통해 어느 정도 검증이 되었고 추후 엘마이토 테라퓨틱스의 축적된 후보물질 최적화 기술과 시너지를 발휘해 중증 신경질환에 성공적인 신약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황해운 키즈TV뉴스 기자 news@kidstvnews.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8.07 ▼4.22
코스닥 820.67 ▲2.40
코스피200 431.10 ▼0.54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498,000 ▲325,000
비트코인캐시 705,000 ▲4,000
이더리움 4,868,000 ▲41,000
이더리움클래식 31,920 ▲600
리플 4,725 ▲75
퀀텀 3,278 ▲4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517,000 ▲357,000
이더리움 4,870,000 ▲45,000
이더리움클래식 31,980 ▲650
메탈 1,107 ▲10
리스크 635 ▲7
리플 4,724 ▲73
에이다 1,123 ▲14
스팀 208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540,000 ▲340,000
비트코인캐시 707,500 ▲5,000
이더리움 4,873,000 ▲46,000
이더리움클래식 32,000 ▲700
리플 4,730 ▲76
퀀텀 3,231 0
이오타 315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