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이용수 교수, 사진=연세대학교]](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00608104300089543233fa3143121162107220.jpg&nmt=29)
[연세대학교 이용수 교수, 사진=연세대학교]
철은 우주에서 가장 풍부한 금속 원소로 지구와 같은 행성의 핵을 구성하고 자기장을 형성하여 지표의 환경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철은 지구의 지각에도 풍부해 광석으로부터 철을 추출하기 시작한 이후 현재까지 인류 문명의 중요한 재료 역할을 해왔다. 철에 대한 이해와 활용을 위해 그동안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철의 변형이 유도되는 충격 환경에서의 동적인 변화 과정에 관한 이해는 측정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자세히 알 수 없는 영역이었다.
이 교수팀은 포항에 새로이 구축된 4세대 선형방사광가속기 시설을 활용해 충격이 가해진 상황에서 일어나는 철의 변화 과정을 관찰했다. 이를 위해 피코초(1012초) 단위의 짧은 펄스 길이를 가진 레이저를 이용해 철의 표면에 충격을 가하고, 이보다 짧은 펨토초(1015) 단위 펄스 길이의 X-선 자유전자레이저를 이용해 철에서 일어나는 원자 단위의 동적인 변화를 나노초(109초) 영역까지 관찰했다. 이는 마치 철 원자를 주인공으로 등장시켜 1,000장의 필름으로 나노초 동안 상영되는 영화를 만든 과정에 비유할 수도 있다.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철은 정육면체의 중심과 각 꼭지점에 철 원자들이 배열되어 있는 구조(bcc 상)를 갖고 있다. 하지만 압력이 충분히 높아지면 밀도를 최대화하기 위해 철 원자의 배열은 육각기둥을 단위로 하는 패턴(hcp 상)으로 바뀌고, 온도도 함께 충분히 높아지면 다시 정육면체를 단위로 하지만 이전과는 다르게 정육면체 각 꼭지점과 면의 중심에 철 원자가 배열되는 패턴(fcc 상)으로 변하게 된다. 흥미롭게도 X-선 자유전자레이저로 촬영한 초고속 충격 상황에서의 철을 주인공으로 한 영화에서는 이러한 철의 서로 다른 모습들이 모두 등장한다.
철에 충격파가 전달되면서 원래의 bcc 상은 서로 다른 정도로 압축된 두 가지 상과 hcp 상의 세 가지 모습으로 변화를 보이다가 이후 충격파의 감쇠와 간섭 효과에 의해 오히려 부피가 팽창된 bcc 상과 fcc 상으로도 변화를 보이며 수 나노초가 지난 후에는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원자 단위의 배열 패턴 차이로 구분되는 상들은 서로 다른 물리적 특성을 띄기 때문에 이러한 물질의 변형 과정을 이해하게 되면 물질과 물성을 올바로 이해하고 새롭게 응용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이 교수팀은 포항가속기연구소 X-선 자유전자레이저 시설이 운영을 시작한 2017년부터 국제공동연구팀을 조직해 실험 제안을 시작했고, 그동안 세 차례 주어진 실험 기회를 통해 세계적으로도 독특한 초고속 동적 충격 실험 환경을 구축했으며, 그 첫 번째 케이스로 철에 대한 측정을 완성할 수 있었다.
이 교수는 “철의 도시 포항에서 철에 대한 이해를 확장했다는 점도 뜻깊은 것 같다”며 소감의 밝히고 “앞으로 더 강한 레이저를 이용해 보다 극한 상황에서 일어나는 물질의 다양한 변화들을 관찰하고 싶다”고 향후 포부를 밝혔다.
황해운 키즈TV뉴스 기자 news@kidstvnews.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