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중소기업중앙회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가 지난달 23~25일 전국 수출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로 인한 미중 무역 분쟁 확산에 따른 중소기업 영향 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코로나19로 인한 미중간 책임공방으로 중소기업 86.3%는 무역 분쟁이 확산될 것이라고 답했다. 확산 시 예상되는 지속기간에 대해서는 '6개월~1년 이내로 답한 기업이 45.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3년(31.7%)', '6개월 이내(15.7%)' 순으로 나타났다.
미중간 무역 분쟁이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중소기업 절반이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51.3%)'이라고 답했으며, 이어 '영향 없음(47.0%)', '긍정적(1.7%)'이라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대응전략으로는 '별도 대응방안 없음'이 42.0%로 가장 높게 나타나며 대외 리스크 관리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거래처 및 수출시장 다변화(32.7%)', '경쟁력 강화를 위한 R&D 투자 확대(17.3%)', '환변동 보험 가입 등 환리스크 관리 강화(17.0%)', '생산기지 이전(4.7%)'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미중 분쟁 리스크 극복을 위한 정부 중점 과제로는 '수출 다변화를 위한 해외시장 정보제공 강화(41.7%)'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해외 마케팅 지원 강화(37.0%)', '환율 변동 대응 등 외환 시장 안정화(32.3%)', '제품 경쟁력 강화를 위한 R&D 지원 강화(28.3%)',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맞춤 전략 수립(16.3%)', '국내 등 생산기지 이전 중장기적 지원(10.7%)' 순으로 응답했다.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우리나라의 가장 큰 무역상대국인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 확산은 코로나19로 타격을 받은 수출 중소기업에게 최악의 상황으로, 정부는 시나리오별 중소기업 맞춤 전략을 수립하고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영선 글로벌에듀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