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7.19(토)

인하대학교, 과기부 기초연구실 지원 사업 선정

물리학과·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연구팀

황해운 글로벌에듀 CP

2020-07-14 19:15:26

[ 정종훈 물리학과 교수, 김선민 기계공학과 교수, 권순조 생명공학과 교수, 전태준 생명공학과 교수, 양회창 화학공학과 교수, 사진=인하대학교]

[ 정종훈 물리학과 교수, 김선민 기계공학과 교수, 권순조 생명공학과 교수, 전태준 생명공학과 교수, 양회창 화학공학과 교수, 사진=인하대학교]

[글로벌에듀 황해운 기자] 인하대학교는 물리학과·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연구팀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기초연구실 지원사업에 각각 선정됐다고 밝혔다.

정종훈 물리학과 교수가 주관 연구책임을 맡은 ‘마찰 대전 기초 연구실’은 이민백, 이규태 물리학과 교수와 위정재 고분자공학과 교수가 참여한다. 마찰 대전은 2000년 이상 오래된 물리 현상이지만 아직까지도 그 근본 원리가 제대로 밝혀지지 않은 연구 주제다. 나노 스케일에서 기계·전기·열적 특성과 실시간 비선형 광학, 광전자 분광 분석을 통해 마찰 전하의 근원과 전달 원리 등을 연구한다.

이어 ‘산소 제어 및 병렬 혈액순환 미세유체 시스템 기반복합 장기칩 연구실’은 김선민 기계공학과 교수가 연구책임을 맡고 권순조, 전태준 생명공학과 교수, 경희대 기계공학과 허윤정 교수가 공동연구를 수행한다.

연구팀은 간, 신장과 같은 서로 다른 장기 조직을 하나의 혈액순환 모사 시스템으로 구현해 복합 장기 칩을 개발한다.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산소 관련 질병 모델을 만들고 질병 기전, 약물 테스트 연구를 진행한다. 연구팀이 가지고 있는 미세유체 시스템 내부에 산소 농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핵심 기술을 바탕으로 체내 산소 분압까지 모사할 수 있어 기존 모델보다 생체 모사도를 더욱 높인 복합 장기 칩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양회창 화학공학과 교수가 연구책임을 맡은 ’분자 스프링 기반 인공 근섬유 모사 기초연구실‘은 화공 분야의 개척형 과제로 선정됐다. 숙명여대 임호선 교수, 박민우 교수와 경상대학교 김해진 교수와 공동으로 연구한다. 연구팀은 거미줄 웹의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거미줄 표면 습윤 액적 내로 거미줄의 감김(스풀링)과 풀림 거동을 결정하는 모세관 힘과 굴곡저항을 고분자 기반 와이어와 유·무기 하이브리드 젤로 구현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생체 근섬유와 유사한 양방향 수축-이완이 가능한 인공 근육 및 수정체 개발과 이를 기반한 다양한 초정밀 동작 시스템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다.

연구는 이달부터 2023년 2월까지 3년 동안 연간 최대 5억 원을 지원받는다.

기초연구실 지원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고 한국연구재단이 운영·관리하는 집단연구지원사업이다. 전문 분야에 소규모 기초연구 그룹을 육성·지원하며 신기술 개발과 신진 연구자 육성을 위해 올해 100개 연구실을 선정했다.

황해운 글로벌에듀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8.07 ▼4.22
코스닥 820.67 ▲2.40
코스피200 431.10 ▼0.54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035,000 ▲637,000
비트코인캐시 704,000 ▲6,000
이더리움 4,848,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31,770 ▼200
리플 4,687 ▲1
퀀텀 3,261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148,000 ▲672,000
이더리움 4,855,000 ▲29,000
이더리움클래식 31,760 ▼140
메탈 1,108 ▲4
리스크 630 ▼0
리플 4,691 ▲9
에이다 1,117 ▲4
스팀 207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070,000 ▲670,000
비트코인캐시 705,500 ▲7,000
이더리움 4,851,000 ▲21,000
이더리움클래식 31,770 ▼290
리플 4,695 ▲23
퀀텀 3,261 ▼41
이오타 31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