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감정원은 7월 둘째주(13일 기준) 서울의 주간 아파트값이 0.09% 상승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주까지 6주 연속 상승했으나, 지난주(0.11%)보다 오름폭은 다소 둔화했다.
감정원은 “이번 주 조사 결과는 10일 전세대출보증 제한 조치 시행과 정부의 7‧10 주택시장 안정 보완대책 영향 일부가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인 잠실동이 있는 송파구(0.13%)가 지난주에 이어 서울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이후 규제지역 인근 지역으로 매수세가 몰리면서 가격이 오르고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강남 3구에 이어 고가 아파트가 많은 마포구(0.13%)‧용산구(0.10%)‧성동구(0.07%) 등 일명 ‘마용성’ 지역도 지난주와 유사한 오름폭을 기록했다.
9억원 미만의 중저가‧중소형 아파트가 몰려 있는 노원구(0.11%)‧도봉구(0.12%)‧강북구(0.11%) 등 ‘노도강’ 지역과 금천구(0.07%)‧관악구(0.09%)‧구로구(0.09%) 등 ‘금관구’ 지역도 지난주와 비슷한 상승률을 나타냈다.
감정원은 “서울의 경우 서부‧동북선 등 교통 호재가 있는 지역이나 중저가 단지 위주로 아파트값이 상승했다”며 “6‧17대책과 7‧10 보완대책 발표 등 영향으로 일부 관망세를 보이며 상승 폭이 축소됐다”고 분석했다.
전셋값 불안은 계속됐다. 서울의 아파트 전셋값은 이번주에 0.13% 올라 지난주(0.10%)보다 상승폭을 키웠다. 55주 연속 상승이다. 특히 서울은 강남권 아파트의 전셋값 상승률이 지난주에 이어 눈에 띄게 높았다.
나영선 글로벌에듀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