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한국은행 GDP통계 소득계정을 이용해 '가계·기업·정부 순처분가능소득 추이'를 분석한 결과, 작년 가계 순처분가능소득은 1.9% 늘어나는데 그쳤다. 이번 수치는 지난 1975년 통계작성 이래 가장 낮은 수준으로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낮은 수준이다.
지난해 가계 순처분가능소득은 근로자 급여 등 피용자보수 상승에 불구하고 재산소득 감소, 가계 영업이익 하락, 순경상이전은 마이너스 폭 확대 등으로 부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재산소득은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순이자소득 마이너스폭 확대와 기업활동 위축에 따른 배당소득 감소 탓에 7.2% 감소했다. 가계 영업잉여도 자영업자 사업여건 악화로 2.2% 축소됐으며, 순경상이전 역시 마이너스폭이 확대돼 가계소득에 부정적 영향을 줬다.
정부 순처분가능소득은 기업·가계소득 둔화에 따른 경상세 수입 부진 때문에 지난해 404조6000억원으로 전년보다 0.2% 줄었으나, 2010년 이후 연간 상승률은 경제주체들 중 가장 빨랐다.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정부소득은 연평균 5.5% 늘어 가계(4.2%), 기업(0.8%) 증가율을 상회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지난해 기업과 가계가 소득 둔화 또는 감소로 모두 어려웠다”면서 “감가상각, 소득재분배 등을 거친 후의 소득인 순처분가능소득은 기업에서 최근 2년 연속 감소해 타격이 컸고, 가계에선 근로자 급여가 일정 폭 늘어났지만 배당·이자 등 재산소득과 자영업자 영업잉여가 줄어든 탓에 작년 소득 상승률이 1975년 통계집계 이래 가장 낮았다"고 설명했다.
또 추 실장은 "기업·자영업자 등 생산주체들의 활력 위축은 가계소득 구성항목인 피용자보수, 영업잉여, 재산소득 등에 부정적 영향을 줘 결국 가계소득 둔화를 초래한다"며 "가계소득을 늘리려면 기업과 자영업자들이 사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근아 글로벌에듀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