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1.17(월)

클래리베이트, 지속가능 에너지원에 대한 변환에서 연구와 혁신 역할 보고서 발표

해양에너지- 태양광 및 풍력발전을 포함한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의 기술 발전이 성숙됨에 따라 차세대 주요 에너지원으로 각광

이수환 CP

2022-11-30 13:59:07

클래리베이트, 지속가능 에너지원에 대한 변환에서 연구와 혁신 역할 보고서 발표
[글로벌에픽 이수환 기자] 혁신의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해 신뢰할 수 있는 정보와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글로벌 리더 클래리베이트(NYSE:CLVT)가 오늘 에너지의 전환: 지속가능 에너지원에 대한 세계적 변환에 있어서의 연구와 혁신의 역할 보고서를 발표했다.

클래리베이트는 본 보고서를 통해 재생 가능 에너지에 관한 연구 및 창의적 활동의 발전 속도 차이가 산업에서의 연구 및 창의적 활동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된다고 밝혔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글로벌적으로 모든 주제영역에 대한 특허와 과학저널이 증가한다는 클래리베이트의 정규화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 내용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유럽연합위원회가 지정한 8가지 신재생 에너지원 중 하나인 태양광과 풍력은 지난 30년 동안 가장 많은 연구 및 창의적인 활동이 이루어진 분야다. 그러나 최근 그 활동이 줄어들고 있는 이유는 풍력과 태양광 발전에 관련된 기술개발이 성숙해짐에 따라 이 산업에서 가장 풀고 싶어했던 복잡한 기술적 난제들과 도전 과제들이 해결되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해양발전은 매우 집약적인 에너지 밀도를 가져 완전한 활용이 가능할 경우 가장 유망하고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다만 현재 기술 수준이 일정 궤도에 오르지 않아 기술 발전에 있어 가장 성숙도가 낮은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으로 꼽혔다.

중국은 재생 에너지원 연구에 있어 가장 활발한 활동을 보이며, 이 분야의 연구 및 혁신 강국으로서 국제적 위상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재생 에너지원에 대한 누적 연구 결과 값에 있어서는 미국과 중국이 거의 비슷한 수치를 보이고 있다. 이는 중국의 재생 에너지원에 대한 발명활동 누적수치는 미국의 재생 에너지 특허활동을 훨씬 능가하고 있음에도, 중국의 특허활동이 발명활동을 따라가지 못하는 것이 원인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에너지 분야에서 연구와 혁신 활동이 이전에 비해 감소하고 있다고 밝혔다.

클래리베이트의 IP 및 혁신 연구 수석 분석가 겸 부사장인 Ed White는 “미래 세대를 위한 거주 및 지속이 가능한 행성을 확보하는 것은 가장 시급한 글로벌적 관심사 중 하나”라며, “클래리베이트의 이번 보고서는 우리가 연구하고자 하는 것과 실제 활동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혁신적인 정보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이어 “본 보고서는 자금조달자, 기업, 정부 및 연구원이 재생 가능 에너지원에 대한 연구 및 생태계의 현재 상태와 미래 모습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때문에, 산업 관련자들은 이와 같은 보고서를 참조해 지속가능한 에너지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보다 빠르게 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에너지 위기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로 전환하려는 글로벌적 노력에 긴박감을 더하고 있기 때문에, 정책 입안자들은 세계의 과학자들이 밝혀낸 해답을 기반으로 각 정부의 지속가능한 에너지 이니셔티브를 가시적인 행동과 일치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클래리베이트는 과학 및 학술 연구부터 IP인텔리전스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분야에서 큐레이팅된 인사이트와 심층적인 전문 분석 지식을 결합시켜 전 세계가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으로 전환하는 데 있어서의 복잡한 난제들을 이해하고, 더 나은 지속가능한 에너지 기반 미래를 형성하는 데 해답을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수환 글로벌에픽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089.25 ▲77.68
코스닥 902.67 ▲4.77
코스피200 576.65 ▲13.22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2,476,000 ▲397,000
비트코인캐시 736,500 ▲500
이더리움 4,763,000 ▲29,000
이더리움클래식 22,430 ▲90
리플 3,387 ▲22
퀀텀 2,611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2,497,000 ▲464,000
이더리움 4,764,000 ▲31,000
이더리움클래식 22,440 ▲120
메탈 649 ▼2
리스크 379 ▲7
리플 3,389 ▲24
에이다 736 ▲4
스팀 116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2,490,000 ▲490,000
비트코인캐시 736,500 0
이더리움 4,763,000 ▲27,000
이더리움클래식 22,440 ▲120
리플 3,387 ▲23
퀀텀 2,606 0
이오타 19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