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9.14(일)

직장내성추행 폭행 또는 협박 없더라도 성립돼

이수환 CP

2024-05-13 09:00:00

사진=이경복 변호사

사진=이경복 변호사

최근 직장내성추행 사건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성범죄를 바라보는 사회적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과거와는 달리, 혐의를 인지하는 범위가 넓어짐과 더불어 더 이상 함구하지만은 않는 탓이다. 이런 사회적 인식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직장 내에서 발생한 성폭력 사건은 여전히 논쟁의 대상임은 분명하다.

직장내성추행 사건의 경우, 보통 피의자가 자신의 상급자일 때 회사 내 여러 불이익을 우려하는 피해자들이 많았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특례를 규정한 성폭력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약칭:성폭력처벌법)에서는 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추행에 대한 처벌을 다루게 되었는데 그 성립 요건이 형법상의 강제추행죄와는 사뭇 다르다.

업무, 고용이나 그 밖의 관계로 인하여 자기의 보호, 감독을 받는 사람에 대하여 위계 또는 위력으로 추행한 사람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하므로, 10년 이하의 징역형 또는 1천5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으로 규정된 형법상 강제추행에 비해 처벌이 비교적 약하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범죄 구성 요건과 비교하면 결코 경시할 수 없다.

강제추행은 ‘폭행 또는 협박으로 사람에 대하여 추행한 자’라고 그 성립 요건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추행의 경우 ‘폭행 또는 협박’이라는 부분은 존재하지 않는다. 즉, 위계 및 위력이 작용되었다는 점만으로도 혐의가 성립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직장내성추행 사건에서 벌금형 이상의 판결을 받는다면 사안에 따라 신상정보 등록 및 고지, 취업 제한 등의 보안처분이 따르며, 사규에 따라 더 큰 제재가 가해지기도 한다. 또한 공무원이 본 죄에 연루되어 벌금 100만 원 이상의 판결을 받는다면 퇴직 및 임용 결격 사유로 작용한다.

이에 법무법인 테헤란 이경복 형사 전문 변호사는 “직장내성추행의 경우, 친밀감 또는 격려의 표현이라고 할지라도 상대가 성적 수치심 또는 불쾌감을 느꼈다면 의도와는 관계없이 성추행 사실이 인정될 수 있다.”라며, “특히, 회사 내 징계로 인해 인사고과에 불이익이 따를 수 있기에 혐의에 연루된 즉시, 법률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혐의에 대응해 나가는 것이 핵심이다.”라고 말을 전했다.

덧붙여 “직장내성추행은 의도하지 않았거나 오해로 인해 다소 억울한 혐의를 받는 경우도 존재한다.”라며, “이때는 무혐의를 다툴 수 있도록 성범죄 전문 변호사와 함께 객관적 증거나 정황 증거를 확보하여 혐의가 없음을 소명해야만 한다.”라고 조언했다.

이수환 글로벌에픽 기자 lsh@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395.54 ▲51.34
코스닥 847.08 ▲12.32
코스피200 462.74 ▲8.74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562,000 ▼34,000
비트코인캐시 829,000 0
이더리움 6,459,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30,490 ▲10
리플 4,322 ▲1
퀀텀 3,627 ▼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541,000 ▼69,000
이더리움 6,454,000 ▼17,000
이더리움클래식 30,490 0
메탈 1,072 ▼2
리스크 538 ▲2
리플 4,321 0
에이다 1,286 ▼2
스팀 191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530,000 ▼50,000
비트코인캐시 828,500 ▼1,000
이더리움 6,450,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30,450 ▼10
리플 4,323 ▲2
퀀텀 3,650 ▲44
이오타 279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