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신금융협회 자료에 따르면 2019년 약 10조 3천억이던 자동차리스 취급액이 2023년 약 13조 6천억으로 30% 이상 상승 하였으며 신차 장기렌터카 또한 2020년 기준으로 누적 인가대수 100만 대를 돌파 하였다. 과거에는 주로 법인고객들이 많이 이용했지만 최근에는 개인들도 자동차리스나 장기렌터카를 선호하는 추세이다.
신차구매 플랫폼 카랩의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최근 3개월간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신차 구매방식 별로 조사해보니 ▲할부 51.6%, ▲일시불 26.7%, ▲장기렌트 10.7%, ▲자동차리스 9.3%, ▲기타 1.7%로 10명 중에 2명은 자동차리스와 장기렌터카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많은 소비자들이 이용하는 만큼 자동차리스와 장기렌터카를 계약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주의사항을 체크해야 한다.
자동차리스와 장기렌터카 모두 계약 조건이 중요하다. 계약 기간, 월 납입금, 주행 거리 제한, 보험 조건 등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특히, 중도 해지 시 발생하는 위약금에 대한 조항을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한다.
2. 보험 및 세금 처리 방식의 차이
리스의 경우, 차량의 소유권이 금융기관에 있지만,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자동차세와 보험료를 직접 부담해야 한다. 반면, 장기렌터카는 자동차세와 보험료가 월 렌트료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보험료와 자동차세 납부 방식의 차이를 이해하고 선택해야 한다.
3. 주행거리 제한과 추가 비용
자동차리스와 장기렌터카 계약을 할 때, 연간 주행거리 제한을 설정 하게끔 되어있다. 계약만기 이후 반납을 하게 되는 경우 약정 주행거리가 초과 되었을 때에는 추가 비용을 납부해야 함으로 자신의 주행 패턴을 고려하여 주행거리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일한 차량과 동일한 조건으로 견적을 요청해도 금융 담당자에 따라서 월 납입금이 달라진다. 이는 최대 14%까지 설정할 수 있는 중개수수료 때문이다. 소비자는 최대한 많은 견적을 비교하여 과도한 중개수수료가 포함되어 있는 계약은 반드시 피해야 한다.
한편, 카랩의 박근영 대표는 “자동차 교체주기가 과거에는 7년 이상 이였는데 30대, 40대 고객을 중심으로 교체주기가 5년 이하로 점점 짧아지고 있다. 자동차를 소유의 목적보다는 이용수단의 목적으로 인식하는 고객들이 점점 많아 지고 있기 때문이며 그에 따라 자동차리스, 장기렌터카 시장이 매년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정보의 비대칭으로 인하여 소비자들이 과도한 월 불입금을 납부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무분별한 선택보다는 반드시 비교견적을 통해 합리적인 선택을 해야 한다.” 고 말했다.
[안재후 글로벌에픽 기자/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