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모리 사업부는 3조1천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DRAM 시장이 사상 최고를 치닫고 있지만 삼성은 HBM(고대역폭메모리) 사업의 거듭된 부진으로 재고손실이 발생했다. NAND 플래시에서도 두 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하며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파운드리를 포함한 S-LSI 사업부는 2조7천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소폭 늘었지만 여전히 낮은 가동률과 재고손실로 대규모 적자가 지속됐다.
MX/NW(모바일) 사업부는 3조원의 영업이익으로 양호한 실적을 거뒀다. 스마트폰 출하량이 5,700만대로 시장 예상치를 넘어섰고 마진도 예상을 상회했다.
VD/CE(TV·가전) 사업부는 2천억원의 영업이익에 그쳤다. TV 수요 감소와 가격 경쟁 심화로 매출과 마진 모두 부진했다. 하만(자동차 부품) 사업부는 5천억원으로 선전했다.
유진투자증권 이승우 애널리스트는 "AI 메모리 산업의 초호황에도 웃을 수 없는 안타까운 성적표"라며 "변화의 속도와 강도가 시장 기대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것은 사실"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이 애널리스트는 "아직은 삼성이라는 시스템 전체의 실패로까지 해석하고 싶지 않다"며 "HBM 개선 버전이 출하되기 시작했고 상반기 중 재고손실 처리로 하반기 부담이 줄어들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3분기 영업이익은 8조원대로 큰 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투자심리도 나아질 것으로 기대된다는 분석이다.
유진투자증권은 투자의견 'BUY'와 목표주가 72,000원(Target P/B 1.2배)을 유지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