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8.21(목)

삼성물산, 국내 첫 '장수명 주택' 우수등급 도전장

개포우성7차에 100년 주택 기술 적용... "11년간 단 1건도 없던 우수등급 달성 목표"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7-29 10:18:06

삼성물산, 국내 첫 '장수명 주택' 우수등급 도전장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삼성물산이 국내 건설업계에서 11년간 단 한 건도 달성하지 못했던 '장수명 주택' 우수등급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미래형 주거 모델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겠다는 포부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개포우성7차 재개발 사업에 '장수명 주택' 우수등급을 충족하는 고도화된 설계를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장수명 주택은 구조적으로 오랫동안 유지·관리가 가능한 주택을 의미하며, 내구성과 구조 가변성, 수리 용이성이 우수해 '100년 주택'으로도 불린다.

현행 건축법에 따르면 1000가구 이상 공동주택 건설 시 장수명 주택 인증을 확보해야 하며, 최우수(80점), 우수(70점), 양호(60점), 일반(50점) 네 개 등급으로 분류된다. 우수등급 이상 취득 시 10% 이내에서 건폐율·용적률을 늘려주는 인센티브가 주어지지만, 2014년 도입 이후 지난 11년간 실제 우수등급 이상을 받은 사례는 전무했다.

서울시는 개포우성7차 정비 계획에 허용용적률 인센티브를 총 17% 부여하면서, 이 중 6%는 장수명 주택 우수등급 적용을 조건으로 달았다. 이에 삼성물산은 기존 일반적인 벽식 구조의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적인 설계 방식을 도입했다.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는 구조 시스템의 혁신이다. 삼성물산은 기존 내력벽 수를 최대 40%까지 줄이고, 건식 벽체와 기둥 배치를 더한 '혼합식 구조'를 채택했다. 이를 통해 내부 공간의 자유로운 평면 배치가 가능해지며, 세대 간 구조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됐다.

가변형 벽체의 설치와 해체가 자유로워 가족 구성과 라이프 스타일 변화에 따른 구조 변경이 용이하며, 장기적인 보수 측면에서도 큰 장점이 있다. 이는 주택의 생애주기를 획기적으로 연장시키는 핵심 기술로 평가된다.

수리 용이성 향상을 위한 배관 설계도 눈에 띈다. 세대 내 전용 공간 배관은 구조물과 분리한 수직 배관의 급수 방식을 적용하고, 공용 공간 배관은 설치 구간에 최대 20%의 여유 면적을 추가 확보하며 별도의 점검구를 설계에 반영했다. 이를 통해 수월한 배관 수리와 함께 유지 비용까지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거 품질 향상을 위한 기술 적용도 빼놓을 수 없다. 개포우성7차 모든 세대에는 최신 기준에 부합하는 층간소음 1등급 기술이 적용된다. 삼성물산은 자체 개발한 특수 완충재와 몰탈을 바탕으로 국내 건설사 중 유일하게 습식과 건식 시공 방식 모두에 대한 층간소음 1등급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층간소음은 경량충격음(가구 끄는 소리, 물건 떨어뜨리는 소리)과 중량충격음(아이들 뛰는 소리, 어른의 발걸음 소리)으로 구분되는데, 삼성물산은 두 가지 유형 모두에서 1등급 기준인 37dB 이하를 만족하는 기술을 적용했다.

특허기술로 구현한 최신 1등급 바닥 구조에는 바닥슬라브 250mm, 지정 완충재 70mm, 지정 몰탈 50mm가 적용된다. 이러한 고성능 바닥 시스템을 통해 이웃 간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하고, 실내 공간의 정온성과 사생활 보호 기능을 대폭 강화할 예정이다.
김명석 삼성물산 주택사업본부장(부사장)은 "주거의 미래는 단단한 콘크리트 위에 세워지는 것이 아니라, 얼마나 오랫동안, 얼마나 조용하고 쾌적하게 살아갈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며 "개포우성7차는 단순히 건축 기술을 넘어 삶의 방식까지 혁신하는 단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삼성물산의 도전은 국내 건설업계의 기술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성공할 경우 국내 최초 장수명 주택 우수등급 사례로 기록되며, 향후 주택 건설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30.09 ▼21.47
코스닥 777.61 ▼10.35
코스피200 423.66 ▼2.52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950,000 ▲951,000
비트코인캐시 772,500 ▲8,000
이더리움 5,931,000 ▲144,000
이더리움클래식 29,390 ▲590
리플 4,060 ▲88
퀀텀 2,917 ▲4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954,000 ▲844,000
이더리움 5,935,000 ▲144,000
이더리움클래식 29,400 ▲600
메탈 1,005 ▲14
리스크 536 ▲8
리플 4,058 ▲83
에이다 1,215 ▲34
스팀 180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970,000 ▲970,000
비트코인캐시 772,000 ▲7,500
이더리움 5,935,000 ▲140,000
이더리움클래식 29,380 ▲570
리플 4,062 ▲89
퀀텀 2,911 ▲31
이오타 26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