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7.31(목)

대덕전자, AI 가속기 수혜 본격화로 목표가 22% 상향

iM증권 "PKG·MLB 사업가치 1조5000억원 추산, 2만8000원 제시"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7-30 10:43:07

대덕전자, AI 가속기 수혜 본격화로 목표가 22% 상향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대덕전자가 자율주행과 AI 가속기 시장 확산에 따른 수혜 기대감이 커지면서 증권가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반도체 기판(PKG)과 다층기판(MLB) 사업의 가치가 주가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는 평가와 함께 목표주가가 크게 상향됐다.

iM증권은 30일 대덕전자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하며 목표주가를 기존 2만3000원에서 2만8000원으로 21.7% 상향한다고 발표했다.

목표주가 상향의 핵심은 2026년 사업가치 재평가에 있다. iM증권은 반도체 기판(PKG) 사업 가치를 8600억원, MLB 사업 가치를 6400억원으로 추산했다. 이는 기존 추정치인 7000억원, 5100억원 대비 각각 23%, 27% 상향한 것이다.

이 같은 밸류에이션 상향은 AI 가속기 시장 확대에 따른 PKG·MLB 관련 기업들의 멀티플 확장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엔비디아 공급망에서 차세대 GPU인 블랙웰(Blackwell) 기판의 면적 소요량이 기존 호퍼(Hopper) 대비 2배에 달하면서 AI 가속기용 FC-BGA 수급이 타이트해지고 있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대덕전자의 실적 회복 모멘텀도 가시화되고 있다. FC-BGA 가동률은 올해 상반기 48%에서 하반기 55~60%로 개선될 전망이다. 손익분기점 가동률인 60~65% 수준은 내년 상반기에 달성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회사는 3분기부터 양산될 자율주행용 FC-BGA를 포함해 4~5개의 신규 고객사 확보를 통해 가동률을 높일 계획이다.

MLB 부문의 성장세는 더욱 가파르다. 2분기 기준 85%로 높게 유지된 가동률은 연간 생산능력(Capa) 2000억원 수준에서 4분기 초 병목 공정 개선을 통해 3000억원, 2026년 증설 완료 시 4000억원까지 확대될 계획이다. 이에 맞춰 AI 가속기향 MLB 매출은 올해 200억~300억원에서 2026년 연간 800억~1000억원으로 가파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주목할 점은 대덕전자의 주요 MLB 고객사 주가가 최근 주요 반도체 기업 중 가장 아웃퍼폼하고 있다는 것이다. 올 하반기 신제품은 물론 자체 랙 레벨(Rack-Level) 솔루션이 적용될 차세대 제품에 대한 기대감도 크다. 특히 차기작에는 일체형 PCB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대덕전자의 기술적 우위가 한층 더 부각될 계기가 될 전망이다.

실적면에서는 2분기 매출 2458억원, 영업이익 19억원을 기록해 컨센서스 대비 매출은 5% 상회했으나 영업이익은 65% 하회했다. 환율 악화와 수주 확대 과정에서 오퍼레이팅 비용이 확대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3분기 실적은 매출 2597억원, 영업이익 123억원으로 기존 영업이익 추정치를 7%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5월 이후 전사적으로 수주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2025년 영업이익 추정치는 2분기 실적 하회를 반영해 5% 하향한 250억원으로 전망하지만, 2026년은 견조한 수주 흐름을 감안해 기존 추정치 대비 5% 상향한 760억원을 전망한다.

고의영 iM증권 애널리스트는 "최근 일부 차량용 반도체 업체들이 2년 이상 이어진 다운사이클을 지나 바닥을 통과하고 있다고 언급하는 점이 대덕전자의 주력인 전장용 FC-BGA에 긍정적"이라며 "AI 가속기 고객사의 재평가와 더불어 동사 MLB 사업의 가치가 주가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고 분석했다.
업계에서는 자율주행과 AI 가속기라는 두 축의 성장 동력이 본격화되면서 대덕전자의 중장기 실적 개선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2026년 앞선 두 요소의 본격 반영을 통한 업사이클 도래가 주가 상승의 핵심 촉매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54.47 ▲23.90
코스닥 803.67 ▼0.78
코스피200 439.81 ▲3.97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126,000 ▼823,000
비트코인캐시 773,000 ▼16,000
이더리움 5,157,000 ▼114,000
이더리움클래식 28,700 ▼1,040
리플 4,209 ▼124
퀀텀 2,918 ▼8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326,000 ▼608,000
이더리움 5,167,000 ▼103,000
이더리움클래식 28,720 ▼1,060
메탈 1,022 ▼35
리스크 602 ▼14
리플 4,207 ▼128
에이다 1,034 ▼40
스팀 190 ▼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460,000 ▼400,000
비트코인캐시 774,000 ▼12,000
이더리움 5,160,000 ▼110,000
이더리움클래식 28,700 ▼1,080
리플 4,216 ▼125
퀀텀 2,908 ▼102
이오타 27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