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8.20(수)

아모레퍼시픽 서경배 회장, RSU 수령 취소, 정정공시

공정위 “공시의무 위반 과태료 불가피” … 社측 “해당 내용 정정했다”

안재후 CP

2025-08-20 14:34:16

아모레퍼시픽 서경배 회장, RSU 수령 취소, 정정공시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국내 화장품 업계 1위 아모레퍼시픽그룹이 서경배 회장과의 RSU(양도제한조건부 주식) 지급약정을 공시에서 누락시켜 공정거래법 위반 논란에 휩싸였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를 공시의무 위반으로 판단하고 과태료 부과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정공시로 드러난 'RSU 누락' 사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홀딩스와 아모레퍼시픽은 전날 대규모기업집단 현황 공시를 정정하며 서경배 회장과 RSU 지급약정을 체결했다는 내용을 새롭게 추가했다. 이는 이전 공시에서 해당 내용이 완전히 빠져있었음을 의미한다.

서경배 회장은 아모레퍼시픽그룹의 동일인(총수)으로, 현재 지주회사인 아모레퍼시픽홀딩스 보통주 52.96%, 우선주 11.65%를 보유하며 절대적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다. RSU는 일정기간 매도가 제한된 후 약정 조건을 달성하면 주식을 무상으로 받을 수 있는 보상제도다.
정정공시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홀딩스는 서 회장에게 보통주 8468주를, 아모레퍼시픽은 보통주 5020주를 RSU로 부여하기로 했다. 가득(지급)조건은 지급시점 재직이며, RSU는 성과기간 종료 후 3개년에 걸쳐 분할 지급하는 것으로 설계됐다.

서경배 회장, 자발적 취소로 논란 차단 시도

흥미롭게도 두 회사는 정정공시에서 서경배 회장이 본인 의사에 따라 당기 부여 수량 전체를 취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공시 누락이 문제가 되자 사전에 논란을 차단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하지만 이미 체결된 RSU 지급약정을 공시하지 않은 것 자체가 공정거래법상 공시의무 위반에 해당한다는 것이 공정위의 판단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아모레퍼시픽홀딩스와 아모레퍼시픽은 공정거래법상 공시의무를 위반했다고 볼 수 있다"며 "향후 과태료 등을 부과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투명성 강화 차원 엄격한 공시의무 적용

아모레퍼시픽그룹은 2017년 9월 자산총액 5조원 이상으로 공시대상기업집단(준대기업집단)에 지정됐다. 공시대상기업집단 소속 회사들은 기업집단의 일반현황, 임원·이사회 현황, 주식소유현황, 특수관계인과의 거래현황 등을 의무적으로 공시해야 한다.
특히 총수 일가와의 거래나 보상 관련 사항은 투명성 제고 차원에서 반드시 공시되어야 하는 핵심 정보다. 공정위는 이러한 공시의무 위반에 대해 최대 5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다.

최근 공정위가 발표한 '2024년 공시대상기업집단 공시이행 점검결과'에 따르면, 49개 공시대상기업집단 소속 118개 계열회사 및 동일인의 공시의무 위반행위 135건을 적발해 총 8억8507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 이는 전년 대비 다소 증가한 수치로, 공정위가 공시의무 이행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아모레 "공정위 기준에 맞춰 정정"

이에 대해 아모레퍼시픽그룹 관계자는 "공정위 기준에 부합하게 기재하기 위해 해당 내용을 정정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처음부터 제대로 공시했어야 할 내용을 누락시킨 것에 대한 명확한 사과나 재발방지 대책은 제시하지 않았다.

서경배 회장은 1997년 아모레퍼시픽 대표이사에 취임한 이후 20년간 매출 10배, 영업이익 21배 성장을 이끌어낸 경영 능력을 인정받아왔다. 최근에는 글로벌 리밸런싱 전략을 통해 미주 지역 매출이 중화권을 넘어서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이번 사건은 대기업집단의 공시의무가 점점 엄격해지고 있는 현실을 보여준다. 과거에는 단순한 실수로 넘어갔을 수 있는 사안이지만, 현재는 작은 누락도 법 위반으로 간주되는 추세다.

특히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강조되면서 기업의 투명성과 공시의무 이행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처럼 글로벌 투자자들이 주목하는 대기업일수록 공시의무 위반이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타격이 클 수밖에 없다.

공정위는 앞으로도 공시대상기업집단의 공시의무 이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위반 사례에 대해서는 엄중한 제재를 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단순 위반행위 적발뿐만 아니라 시장의 자율감시 기능을 저해하는 중대한 공시위반행위에 대한 점검도 강화할 계획이다.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 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30.09 ▼21.47
코스닥 777.61 ▼10.35
코스피200 423.66 ▼2.52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388,000 ▲151,000
비트코인캐시 775,500 ▲500
이더리움 5,891,000 ▲32,000
이더리움클래식 29,220 ▲70
리플 4,054 ▲10
퀀텀 2,804 ▲1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508,000 ▲251,000
이더리움 5,894,000 ▲32,000
이더리움클래식 29,240 ▲60
메탈 1,001 ▲4
리스크 533 ▼2
리플 4,054 ▲6
에이다 1,197 ▲6
스팀 178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440,000 ▲170,000
비트코인캐시 776,000 ▲1,000
이더리움 5,895,000 ▲30,000
이더리움클래식 29,220 ▲70
리플 4,051 ▲5
퀀텀 2,780 0
이오타 27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