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과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26일(현지 시간) 미국 필라델피아 한화필리조선소에서 열린 선박 명명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좌측부터 데이비드 김 한화필리조선소 대표, 조현 외교부 장관, 조쉬 샤피로 펜실베니아 주지사, 이재명 대통령,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토드영 인디애나주 상원의원(한화 제공)
이미지 확대보기26일(현지시간) 한화필리조선소에서 열린 '스테이트 오브 메인'호 명명식은 단순한 선박 진수식을 넘어 한미 조선산업 협력의 새로운 출발점이 됐다. 한미 정상회담을 마친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번 행사에서 한화그룹은 야심찬 투자 계획을 공개했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미국 조선산업을 다시 위대하게 만드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연간 건조능력 1.5척에서 20척으로 확대
특히 주목할 점은 한화오션이 보유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필리조선소에 이식한다는 계획이다. 자동화 설비와 스마트 야드, 안전 시스템 등을 도입해 미국 내 LNG 운반선 건조 능력을 확충하고, 더 나아가 함정 블록 및 모듈 공급, 함정 건조까지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1500억달러 마스가 펀드 활용해 투자 재원 확보
투자 재원으로는 한미 관세협상의 결과물인 1500억 달러 규모의 마스가 펀드가 활용된다. 이 펀드는 직접 투자 외에도 보증과 대출 형태로 구성되며, 정책금융 기관들이 주도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한화해운, 유조선 10척·LNG 운반선 1척 발주로 실질 성과
한화그룹의 투자 발표와 동시에 실질적인 성과도 나타났다. 한화그룹의 미국 해운 자회사인 한화해운이 필리조선소에 중형 유조선 10척과 LNG 운반선 1척을 발주한 것이다. 중형 유조선은 모두 필리조선소가 단독으로 건조하며, 첫 선박은 2029년 초 인도될 예정이다. LNG 운반선의 경우 한화오션과의 공동 건조로 진행된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26일(현지시간) 미국 필라델피아 한화필리조선소에서 열린 선박 명명식에서 이재명 대통령, 조쉬 샤피로 펜실베니아 주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환영사를 하고 있다(한화 제공)
이미지 확대보기한미 정상, 조선산업 협력 의지 재확인
이재명 대통령은 필리조선소 시설을 둘러본 후 방명록에 "한미 조선협력의 상징인 한화필리조선소에서 한미 동맹의 새로운 지평이 열리길 기대합니다"라고 적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도 양국 정상은 조선산업 협력에 대한 강한 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은 조선업이 상당히 쇠락했기 때문에 한국에서 구매해야 할 것"이라며 "앞으로 한국과 협력을 통해 미국에서 선박이 다시 건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도 "조선 분야뿐 아니라 제조업 분야에서 르네상스가 이뤄지고 있고, 그 과정에 대한민국도 함께하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화답했다.
전략적 거점에서 협력 상징으로 도약
한화필리조선소는 지난해 말 한화오션과 한화시스템이 약 1억 달러를 투자해 인수한 시설이다. 미국 상선 및 군함 건조 시장 진출을 위한 현지 거점 확보라는 전략적 판단이었다. 이제 이 조선소는 단순한 현지 거점을 넘어 한미 조선산업 협력의 상징적 공간으로 자리잡게 됐다.
한화그룹 관계자는 "한화오션과 한화필리조선소를 통해 한미 양국이 모두 '윈윈'하는 데 조선산업 협력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미국 조선업 부활을 선도할 뿐만 아니라 그와 연관된 한국 내 사업 확장을 통한 일자리 창출, 조선산업 생태계 강화, 지역경제 활성화로 '사업보국' 창업정신을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한화그룹의 투자 결정은 한미 동맹의 새로운 차원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단순한 경제적 협력을 넘어 양국의 산업 경쟁력 강화와 안보 협력까지 아우르는 전략적 파트너십의 모범을 제시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미국의 조선업 부활과 한국 조선업의 글로벌 확장이라는 상호 이익을 추구하는 구조로 설계된 점이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 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