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8.29(금)

스페이스X, 스타쉽 10차 발사 성공...상용화 후 시나리오

엔진 고장 비상상황까지 극복, 모의 위성 사출과 수직 착수 모두 달성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8-29 10:33:24

스페이스X, 스타쉽 10차 발사 성공...상용화 후 시나리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연이은 실패와 폭발 사고로 부담이 컸던 스페이스X가 스타쉽 10차 시험발사에서 완벽한 성공을 거두며 상용화 일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 성공으로 2026년 초 예정된 스타링크 v2.0 발사와 NASA 아르테미스 달 탐사 프로젝트 참여가 현실적 궤도에 올랐다.

스페이스X는 26일(현지시간) 자사의 초대형 발사체 스타쉽의 10차 시험발사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지난 6월 지상 테스트 중 발생한 폭발 사고로 발사가 지연될 것이라는 우려와 달리, 5월 9차 발사 이후 3개월 만에 진행된 이번 발사는 모든 목표를 달성하는 완벽한 결과를 보였다.

10차 발사의 핵심 목표는 두 가지였다.
첫째, 1단 슈퍼헤비 부스터의 엔진 고장과 같은 비상상황을 가정한 착륙 연소 시험이었고, 둘째, 2단 스타쉽의 모의 위성 사출 및 수직 착수였다. 두 목표 모두 성공적으로 달성됐다.

먼저 발사 후 1단 슈퍼헤비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지난 9차와 마찬가지로 핫 스테이징 직후 동체를 180도 뒤집는 '플립 앤 번(Flip and Burn)'에 성공했다. 이후 비상상황을 가정해 의도적으로 하나의 엔진을 끈 상태에서도 수직 착수에 성공해 안정성을 입증했다.

2단 스타쉽도 분리 직후 목표 고도에 진입해 관성 비행 과정에서 탑재했던 8기의 스타링크 모의 위성 사출에 성공했다. 이후 지구로 재진입한 스타쉽은 호주 서쪽 인도양 해상에서 수직 착수까지 완료하며 완벽한 임무 수행을 보여줬다.

이번 성공은 특히 의미가 크다. 9차 발사에서는 1단 슈퍼헤비가 착수에 실패하고 2단 스타쉽 또한 위성 사출과 착수에 모두 실패했다. 여기에 지상 테스트 중 폭발 사고와 미국 행정부와의 마찰까지 겹치면서 스페이스X의 부담이 극에 달했던 상황이었다.

특히 스타쉽의 1차부터 10차까지 시험발사 과정을 보면 기술적 진보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초기 1~3차 발사에서는 폭발과 통제 불능 상태가 반복됐지만, 4차 발사부터는 대기권 재진입과 착수에 성공하기 시작했다. 5차 발사에서는 부스터 캐치라는 혁신적 기술을 첫 선보였고, 최근 7~8차에서는 부스터 포획에 연속 성공하며 재사용 기술을 확립해왔다.

2026년 상용화 목표 현실화

정의훈 유진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이번 10차 발사에서의 성공적인 임무 완수로 스타쉽의 예정된 상용화 시점이 가시화될 전망"이라며 "일론 머스크가 언급한 2026년 초 스타링크 v2.0 발사 목표와 NASA 아르테미스 임무 참여 일정이 현실적으로 달성 가능해 보인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일론 머스크는 2026년 초부터 스타쉽을 활용한 스타링크 v2.0 발사를 목표로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NASA의 달 탐사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 임무에 스타쉽이 투입될 예정 시점도 2026년 9월이다. 이번 성공으로 이같은 일정들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이 마련된 것으로 평가된다.

스타쉽은 높이 121m, 직경 9m의 초대형 발사체로, 기존 발사체 대비 100배 이상의 페이로드를 운반할 수 있는 혁신적 우주선이다. 완전 재사용이 가능해 발사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어 우주 산업의 게임 체인저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성공으로 스페이스X는 우주 발사 서비스 시장에서의 독보적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하는 동시에, 달 탐사와 화성 이주라는 인류의 우주 개척 꿈에도 한 걸음 더 다가섰다는 평가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6.55 ▼9.77
코스닥 795.96 ▼2.47
코스피200 430.23 ▼1.58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4,897,000 ▼558,000
비트코인캐시 775,000 ▲3,000
이더리움 6,233,000 ▼17,000
이더리움클래식 29,840 ▼190
리플 4,056 ▼22
퀀텀 3,854 ▼8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4,994,000 ▼476,000
이더리움 6,229,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9,800 ▼190
메탈 1,029 ▼6
리스크 543 ▼6
리플 4,056 ▼17
에이다 1,177 ▼8
스팀 184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4,860,000 ▼580,000
비트코인캐시 775,000 ▲2,000
이더리움 6,230,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9,770 ▼230
리플 4,054 ▼20
퀀텀 3,850 ▼97
이오타 27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