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탤런트시커 나우식 대표는 발표에서 “오늘날 채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동적 후보자(Passive Candidate)와의 선제적 접점 확보”라고 말했다. 이어 “온톨로지 기반 HR 데이터와 생성형 AI를 결합하면, 기업은 JD 업로드만으로 적합한 후보자를 자동으로 추천받고, AI가 개인화된 이메일 시퀀스를 통해 관계를 이어갈 수 있다”며 탤런트시커의 AI HR 에이전트 구조를 소개했다.
이번 세션은 참석자들로부터 특히 주목을 받았다. 그동안 많은 기업들이 ATS 기반의 ‘지원자 관리’에 머물렀다면, 탤런트시커는 TRM(Talent Relationship Management)와 AI 에이전트를 결합해 채용의 주도권을 되찾는 방법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업계 한 참석자는 “탤런트시커는 단순히 효율적인 채용 툴을 넘어, ‘포스트 ATS 시대’를 여는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다”며 높은 기대를 보였다.
[글로벌에픽 황성수 CP / hss@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