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0.02(목)

하나자산운용 '나스닥100 채권혼합 ETF', 상장 첫날 개인순매수 역대 1위

총보수 0.05% 업계 최저…퇴직연금 계좌로 나스닥 최대 85% 투자 가능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10-01 08:58:00

하나자산운용 '나스닥100 채권혼합 ETF', 상장 첫날 개인순매수 역대 1위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하나자산운용이 출시한 '2세대 채권혼합형 ETF'가 상장 첫날부터 개인투자자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받으며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다.

하나자산운용(대표이사 김태우)은 1일 '1Q 미국나스닥100미국채혼합50액티브 ETF'가 상장 첫날 개인 순매수 55억원을 기록하며 국내 상장된 모든 채권혼합형 ETF 중 상장 첫날 개인순매수 역대 1위에 올랐다고 밝혔다.

이번 ETF가 주목받는 이유는 퇴직연금 투자 규정을 활용한 공격적 투자 전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퇴직연금(DC/IRP) 계좌는 규정상 전체 자산의 30%는 예적금, 채권, 채권혼합형 펀드 등 안전자산에, 나머지 70%까지만 주식 등 위험자산에 투자할 수 있다.

하나자산운용에 따르면 안전자산 30% 내에서 '1Q 미국나스닥100미국채혼합50액티브'를 편입하고, 위험자산 70% 내에서 국내 상장 나스닥100 ETF 중 최저보수인 '1Q 미국나스닥100'(총보수 연 0.0055%)을 편입하면, 전체 포트폴리오에서 최대 85%까지 나스닥100에 투자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이 상품의 경쟁력은 초저비용 구조에서도 드러난다. 총보수는 연 0.05%로 책정돼 국내 상장된 모든 채권혼합형 ETF 중 최저 수준이다. 이는 타사의 동일 유형인 미국 대표지수(S&P500, 나스닥100) 채권혼합 ETF의 최저보수(총보수 0.15%)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퇴직연금 계좌를 통한 장기 투자에 더욱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나자산운용은 올해 ▲1Q 미국S&P500 ▲1Q 미국S&P500미국채혼합50액티브 ▲1Q 미국나스닥100을 잇달아 출시했으며, 이번 '1Q 미국나스닥100미국채혼합50액티브' 상장으로 연금투자자를 위한 미국 대표지수 ETF 시리즈를 완성했다.

특히 앞서 출시된 '1Q 미국S&P500미국채혼합50액티브 ETF'는 2세대 S&P500 채권혼합 ETF 중 최초로 순자산 500억원을 돌파하며 퇴직연금 투자자들의 적극적인 활용 상품으로 자리잡았다. 신규 상장된 나스닥100 채권혼합 ETF 역시 첫날부터 뜨거운 반응을 얻으며 하나자산운용의 연금투자용 대표 ETF 라인업이 한층 강화됐다는 평가다.

김태우 대표는 "1Q 미국나스닥100미국채혼합50 ETF는 미국 테크 대표지수와 미국 단기국채, 그리고 달러 자산까지 한 번의 투자로 분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금투자에 최적화된 상품"이라며 "앞으로도 장기 연금투자의 필수 ETF인 대표지수 유형 4종에 대해서는 업계 최저보수 수준을 유지하고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9월 30일 동시 상장한 '국내 최초 소버린AI ETF'인 '1Q K소버린AI ETF'도 개인순매수 10억원을 기록하며 성공적으로 안착했다. 이 ETF는 이재명 정부의 1호 공약인 'AI 3대 강국' 국정 목표와 직접 관련되는 국내 AI 소프트웨어 기업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최근 AI 네이티브 전환을 발표한 네이버와 카카오에 각 27.5%씩 가장 높은 비율로 투자하며, 삼성SDS, LG씨엔에스, 더존비즈온, 셀바스AI, 우리기술투자, 엠로, 아이티센글로벌, NHN, 다날 등을 편입한다. 네이버는 최근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의 계열사 편입을 검토하며 스테이블 코인으로 비즈니스 확대를 예고한 바 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455.83 ▲31.23
코스닥 845.34 ▲3.35
코스피200 479.37 ▲5.34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362,000 ▲482,000
비트코인캐시 832,000 ▲2,500
이더리움 6,136,000 ▲35,000
이더리움클래식 27,030 ▲100
리플 4,176 ▲6
퀀텀 3,136 ▲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282,000 ▲383,000
이더리움 6,141,000 ▲40,000
이더리움클래식 27,060 ▲110
메탈 921 ▲1
리스크 427 0
리플 4,179 ▲10
에이다 1,192 ▲4
스팀 17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350,000 ▲460,000
비트코인캐시 829,500 ▲500
이더리움 6,140,000 ▲40,000
이더리움클래식 27,000 ▲50
리플 4,176 ▲7
퀀텀 3,149 0
이오타 249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