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0.02(목)

미래에셋 차이나 ETF 2종, 4개월 만에 5,000억원 돌파

테크TOP10 37.5%·휴머노이드로봇 44.1% 수익률…중국 AI·로봇 밸류체인 선점 주효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10-01 10:34:12

미래에셋 차이나 ETF 2종, 4개월 만에 5,000억원 돌파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올해 5월 상장한 중국 투자 상장지수펀드(ETF) 2종의 순자산 합계가 4개월 만에 5,000억원을 넘어섰다. 차별화된 포트폴리오와 우수한 수익률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다는 평가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차이나테크TOP10 ETF'와 'TIGER 차이나휴머노이드로봇 ETF'의 순자산 합계가 5,000억원을 돌파했다고 1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9월 30일 종가 기준 'TIGER 차이나테크TOP10 ETF(0047A0)' 순자산은 2,858억원이다. 이 상품은 중국의 대표적인 빅테크 기업 10개 종목에 집중 투자한다.

주요 편입 종목은 알리바바(15.8%, 9월 30일 기준)와 전기차 배터리 1위 업체 CATL(13.6%), 중국 최대 파운드리 SMIC(13.3%)를 비롯해 샤오미, 텐센트 등이다.
이 ETF는 홍콩뿐 아니라 중국 본토의 대표 테크 종목까지 편입하며 차이나 ETF 중에서도 우수한 성과를 기록 중이다. 본토에 상장된 중국 반도체 설계 기업 '캠브리콘'과 AI 데이터센터 관련주인 'SUGON'의 높은 성과에 힘입어 9월 30일 기준 상장(5월 13일) 이후 누적 수익률은 37.5%에 달한다.

'TIGER 차이나휴머노이드로봇 ETF(0053L0)'도 5월 27일 상장 이후 4개월 만에 순자산 규모가 2,600억원으로 증가했다. 9월 30일 기준 상장 이후 누적 수익률은 44.1%로, 두 ETF 중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 ETF는 중국 대표 휴머노이드 종목을 엄선해 투자하는 전략을 취한다. 현재 국내 상장된 ETF 중 'UBTech'에 가장 높은 비중(10.8%, 9월 30일 기준)으로 투자하고 있다. UBTech는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완성업체 중 유일한 상장사다.

그 외 주요 편입 종목은 휴머노이드 로봇 완성업체인 Dobot(9.7%)과 휴머노이드 대표 부품주인 삼화, 탁보그룹 등이다.

정의현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운용본부장은 "중국은 저비용 고효율의 AI가 급속도로 확산되는 가운데 빅테크 기업들의 밸류에이션은 미국 대비 매우 저렴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은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의 소재, 부품 밸류체인을 내재화하며 대량화와 원가 경쟁력을 갖췄고, 지금 가장 빠르게 공장 라인에 도입되고 있는 국가"라며 "TIGER 차이나 ETF를 통해 중국의 기술 성장주에 가장 발 빠르게 투자해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 정부의 AI 및 로봇 산업 육성 정책과 함께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빠른 도입이 맞물리며, 중국 테크 기업들에 대한 투자 수요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455.83 ▲31.23
코스닥 845.34 ▲3.35
코스피200 479.37 ▲5.34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383,000 ▲232,000
비트코인캐시 832,000 ▲1,500
이더리움 6,139,000 ▲27,000
이더리움클래식 27,040 ▲60
리플 4,171 ▼1
퀀텀 3,136 ▲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294,000 ▲284,000
이더리움 6,143,000 ▲33,000
이더리움클래식 27,060 ▲90
메탈 921 ▲1
리스크 427 0
리플 4,172 0
에이다 1,193 0
스팀 17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310,000 ▲270,000
비트코인캐시 829,500 ▲500
이더리움 6,140,000 ▲30,000
이더리움클래식 27,000 ▲30
리플 4,171 ▲2
퀀텀 3,149 0
이오타 249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