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0.27(월)

APEC CEO 서밋 '슈퍼위크' … 젠슨 황·최태원·이재용 경주서 만난다

글로벌 경제 리더 1700명 집결 … AI 반도체 협력에서 K-상품 홍보까지

안재후 CP

2025-10-27 13:30:22

15일 오후 경북 경주시 보문단지 호반 광장에서 APEC 보문단지 야간경관개선 '빛의 향연' 시연회가 진행되고 있다. 시연회에서 거대한 알 모양의 APEC 상징 조형물에 미디어 아트가 진행되고 있다. 2025.10.15 연합뉴스

15일 오후 경북 경주시 보문단지 호반 광장에서 APEC 보문단지 야간경관개선 '빛의 향연' 시연회가 진행되고 있다. 시연회에서 거대한 알 모양의 APEC 상징 조형물에 미디어 아트가 진행되고 있다. 2025.10.15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오는 28일부터 31일까지 나흘간 경상북도 경주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와 함께 'APEC CEO 서밋 코리아 2025'가 개최된다. 이번 행사는 단순한 정상회담을 넘어 전 세계 주요 기업인들이 한 자리에 모여 경제협력을 논의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축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 주요국 정상들이 경주로 집결하는 가운데,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를 비롯한 글로벌 기업인 1700여 명이 경주를 찾아 세계 경제의 미래를 논의할 예정이다.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가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기존 2박3일 일정에서 3박4일로 확대됐으며, 총 20개 세션에서 85명의 연사가 19시간 이상 집중 논의를 진행하게 된다.

글로벌 테크 리더들의 대거 참석

제인 프레이저 시티그룹 CEO, 호아킨 두아토 존슨앤존슨 CEO, 다니엘 핀토 JP모건 부회장, 오모토 마사유키 마루베니 CEO, 도쿠나가 도시아키 히타치 CEO, 리판룽 시노켐 회장, 쩡위췬 CATL 회장 등 글로벌 경제의 주역들이 경주에 모인다. 특히 인공지능(AI) 시장을 주도하는 젠슨 황 엔비디아 CEO의 방한이 주목을 받고 있다. 황 CEO는 2008년 서울대 특별 강연 이후 근래 공식 방한한 적이 없어 더욱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이달 28일부터 31일까지 진행되는 일정 중 마지막날인 31일 오후 4시경부터 약 30분간 경주예술의전당에서 기조연설을 진행하며, AI, 로보틱스, 디지털 트윈, 자율주행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의 기술 혁신과 성장을 가속화하기 위한 엔비디아의 비전을 공유할 예정이다.

맷 가먼 아마존웹서비스(AWS) CEO, 제인 프레이저 씨티그룹 CEO, 호아킨 두아토 존슨앤드존슨(J&J) CEO, 데이비드 힐 딜로이트 아시아태평양 CEO 등도 연사로 나서며 글로벌 AI 혁신과 디지털 전환의 미래를 논한다. 금융·제조·에너지 분야의 리더들도 한 자리에 모여 AI를 매개로 한 산업 전환과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을 논의하게 된다. 또한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 마티아스 코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사무총장 등 국제기구 인사들도 대거 참여할 예정이다.
의장 맡은 최태원 회장 행사 전반 총괄 지휘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비롯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등 국내 주요 그룹 총수들이 경주로 한데 모인다. 이번 행사의 의장을 맡은 최태원 회장은 28일 저녁 환영 만찬을 시작으로 29일 개회사, 31일 폐회사와 의장 인수인계식까지 행사 전반을 총괄 지휘하게 된다. 최태원 회장은 지난 8월 미국에서 진행된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서 젠슨 황 CEO를 만나 직접 초청 의사를 전했으며, 황 CEO도 "특별한 일이 없으면 참석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구광모 LG 회장 등은 강연자로 나서진 않지만 APEC 기간 경주에 머물며 주요국 정상 및 기업 관계자들을 만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젠슨 황 CEO와 최태원·이재용 회장과의 만남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AI 업계를 주도하고 있는 엔비디아와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을 이끄는 SK하이닉스, 삼성전자의 반도체 협업 방안 등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정기선 HD현대 회장은 27일 APEC CEO 서밋 부대행사로 열리는 '퓨처 테크 포럼: 조선'에서 기조연설자로 나서 AI, 탈탄소 솔루션, 제조혁신 등 조선업의 미래를 이끌고 있는 HD현대 기술을 소개하고, 방산 분야를 중심으로 글로벌 조선 협력 비전을 제시한다. 이는 한미 조선 협력 프로젝트인 '마스가'(MASGA)에 상징성을 부여하는 측면에서 주목되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국내 조선소를 방문할지에 대한 관심도 모아지고 있다.

신동빈·정용진 개막식 참석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CEO 서밋에 직접 참석해 전 세계 주요국 정상, 글로벌 기업인들과 교류하며 경제협력을 논의할 예정이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도 APEC CEO 서밋 개막식 등에 참석할 계획이다. 정준호 롯데백화점 대표와 정지영 현대백화점 사장, 허서홍 GS리테일 대표 등은 28일 오후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리는 '유통 퓨처테크 포럼'에 참여한다.
이들은 포럼에서 디지털 전환과 유통 혁신의 미래를 논의할 예정이며, 29일에는 '디지털 전환과 리테일 효율성' 세션을 통해 글로벌 기업들과 경영 전략을 공유하게 된다. 롯데는 또한 APEC CEO 서밋의 공식 후원사로 롯데호텔이 주요 공식 행사의 케이터링 전반을 담당하며, 롯데웰푸드·롯데칠성음료 등 식품 계열사들은 다양한 K-푸드를 선보이는 부스를 운영한다.

국내 기업인들 대거 참석

장인화 포스코홀딩스 회장, 최재원 SK그룹 수석부회장, 최수연 네이버 CEO, 오경석 두나무 CEO, 이홍락 LG AI연구원장 등 국내 주요 기업인들도 본 행사의 연사로 나선다. 장인화 회장은 30일 '탄력적이고 친환경적인 글로벌 공급망 구축' 주제로 국제 정상과 함께 논의하며, 최재원 수석부회장은 31일 '아시아 태평양 LNG 협력' 세션에서 환영사를 맡는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29일 'AI 데이터 센터 투자에 대한 세금 인센티브 및 규제 완화' 주제로 가먼 AWS CEO와 밀너 메타 부사장과 함께 패널 토론에 참여하며, 오경석 두나무 대표도 같은 날 '통화의 미래 및 글로벌 금융시장' 세션의 기조연설자로 나선다. 이홍락 원장은 30일 사이먼 칸 구글 APAC 부사장, 양빈 왕 보바일 CEO 등과 함께 '지속 가능한 혁신을 위한 차세대 AI 로드맵'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경제효과 7조4000억원, 고용 창출 2만2000명

국내 유통·식품업계 등이 APEC을 계기로 각국 주요 인사들을 대상으로 한 'K-상품' 세일즈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롯데호텔서울은 세계적인 셰프 에드워드 리와 협업해 정상회의 오찬과 만찬을 준비하고, 시그니엘부산은 APEC CEO 서밋 환영 만찬을 맡아 한국의 맛과 멋, 품격 있는 서비스로 각국 귀빈을 맞이할 계획이다. 롯데웰푸드, 롯데GRS, 롯데칠성음료 등 식품 계열사들뿐 아니라 CJ제일제당, 농심 등도 대표 식품을 제공하며 한국 음식 문화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릴 기회를 얻고 있다.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이번 APEC 경제효과는 7조4000억원, 고용 창출은 2만2000명에 달한다"며 "경주 APEC CEO 서밋이 한국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AI 시대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역사적 전환점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APEC CEO 서밋은 지역 경제 통합, AI·디지털 전환, 지속가능성, 금융·투자, 바이오·헬스 등 시대적 과제들을 중점 논의하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세계 1위 회계·컨설팅 기업인 딜로이트(Deloitte)가 '지식 파트너(Exclusive Knowledge Partner)'로 참여해 세션별 주제 기획과 글로벌 트렌드 분석을 맡으므로, 이번 행사는 글로벌 경제의 미래 방향을 형성하는 중요한 의사결정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주에 집결하는 1700여 명의 글로벌 기업인들이 펼칠 '슈퍼위크'는 한국 경제가 AI 시대에 어떻게 도약할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신호가 될 것이다.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 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042.83 ▲101.24
코스닥 902.70 ▲19.62
코스피200 565.69 ▲15.68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70,665,000 ▼585,000
비트코인캐시 829,500 ▲4,500
이더리움 6,200,000 ▼38,000
이더리움클래식 24,850 ▲90
리플 3,890 ▼18
퀀텀 3,051 ▼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70,624,000 ▼644,000
이더리움 6,200,000 ▼41,000
이더리움클래식 24,830 ▲90
메탈 760 0
리스크 328 ▼2
리플 3,893 ▼14
에이다 1,008 ▼2
스팀 138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70,660,000 ▼460,000
비트코인캐시 829,500 ▲5,500
이더리움 6,205,000 ▼30,000
이더리움클래식 24,860 ▲120
리플 3,891 ▼14
퀀텀 3,046 0
이오타 22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