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1.10(월)

키움운용 "은퇴하면 자동으로 배당금 받는다"

노후대비 배당전환 ETF 2종 출시…성장주→배당주 자동 전환·TDF 인출 기능 단점 해결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11-10 11:01:20

키움운용 "은퇴하면 자동으로 배당금 받는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은퇴 시점에 맞춰 자동으로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 노후 대비 상품이 나왔다. 성장주로 자산을 불리다가 은퇴 시기가 되면 자동으로 배당주 비중을 높여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확보하는 구조다.

키움투자자산운용은 은퇴 시점에 맞춰 자동으로 배당 종목 자산의 비중을 높이는 노후 대비 상장지수펀드(ETF) 2종을 출시한다고 10일 밝혔다. 해당 상품은 'KIWOOM 미국S&P500&배당다우존스비중전환'과 'KIWOOM 미국S&P500TOP10&배당다우비중전환'으로, 11일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 신규 상장한다.

두 ETF는 성장형 자산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다 목표 은퇴 시점으로 정한 2040년에 배당형 자산의 비중을 대거 높이는 것이 핵심이다. 처음에는 성장형 75%, 배당형 25% 비율로 수익을 추구하다가 2040년부터는 성장형 25%, 배당형 75% 구조로 리밸런싱을 진행한다. 가입자는 이 ETF를 장기 보유 시 자산 증대 효과에다 꾸준히 월 배당금을 받는 혜택을 누릴 수 있어 효율적 노후 준비가 가능하다.

이번 상품의 가장 큰 특징은 시중의 대표 은퇴자금 펀드인 TDF(타깃데이트펀드)의 단점을 보완했다는 점이다. TDF는 성장형 자산을 굴리다 고객의 생애주기에 따라 채권 등 안전자산으로 포트폴리오를 전환하지만, 매달 돈을 주는 '인출' 기능은 없다. 이 때문에 은퇴 시기에 맞춰 자산 구성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TDF의 구조를 가져오면서 배당금 지급 기능을 추가한 것이 이번 상품의 핵심이다.
키움운용 관계자는 "TDF 고객들이 배당금을 은퇴 뒤 생활비로 받으려면 종전 TDF를 팔고 다른 배당주 투자처를 찾아야 해 펀드 매도에 따른 세금 부담이 생기고 새 상품을 탐색하는 번거로움도 감수해야 한다"며 "이 ETF는 자산 적립과 정기 인출까지 노후 준비 단계를 모두 커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장점도 있다. 2040년 이후에도 성장형 자산 25%를 유지하기 때문에 성장주의 수익으로 배당주를 꾸준히 매입해 배당금을 계속 늘리는 '구조적 배당성장' 효과를 추구할 수 있다. 이 관계자는 "성장형 자산을 일부 유지함으로써 배당금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라고 덧붙였다.

해당 ETF들은 성장형 자산만 다르고 다른 구성은 같다. 미국S&P500 상품은 미국의 대표 지수인 S&P500을 추종하며, TOP10 펀드는 미국의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에 투자하는 S&P500 TOP10 지수를 토대로 한다. 두 ETF는 모두 배당형 자산으로 '다우존스 U.S. 배당금 100' 지수를 활용한다.

세금 부담도 최소화했다. 성장·배당형 자산 전환은 ETF 내부에서 이뤄져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매매차익 관련 세금은 투자자에게 부과되지 않는다.

키움자산운용 이경준 ETF운용본부장은 "인출 문제를 외면하고 단순히 장기투자만 계속하면 나중에 세금 등 문제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며 "이 ETF는 은퇴기의 전환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안정적 노후 현금흐름을 확보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업계에서는 키움운용이 TDF의 장점을 살리면서 인출 기능 부재라는 단점을 보완한 혁신적 상품을 내놓았다고 평가한다. 자산 증식과 배당 수령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원스톱 노후 준비 솔루션으로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071.65 ▲117.89
코스닥 884.89 ▲8.08
코스피200 575.25 ▲17.27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312,000 ▼14,000
비트코인캐시 749,000 ▲500
이더리움 5,366,000 ▼22,000
이더리움클래식 24,130 ▼140
리플 3,655 ▲35
퀀텀 2,905 ▼1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450,000 ▲20,000
이더리움 5,367,000 ▼23,000
이더리움클래식 24,120 ▼60
메탈 695 ▼5
리스크 308 0
리플 3,657 ▲38
에이다 873 ▲3
스팀 127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270,000 ▼120,000
비트코인캐시 750,000 0
이더리움 5,365,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24,120 ▼40
리플 3,658 ▲39
퀀텀 2,902 0
이오타 21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