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1.10(월)

[10일 마감]코스피 3% 급등, 미 셧다운 종료 기대에 배당세제 개선 모멘텀까지

상원 예산안 진척에 투자심리 개선...배당소득 분리과세율 25%로 인하 가능성 부각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11-10 17:30:58

[10일 마감]코스피 3% 급등, 미 셧다운 종료 기대에 배당세제 개선 모멘텀까지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10일 국내 증시가 미국 정부 셧다운 종료 기대감과 배당 세제 개선 기대가 겹치며 큰 폭으로 반등했다.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3.02% 오른 4,073.24에, 코스닥은 1.32% 상승한 888.35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상승 종목이 807개(코스피)와 1,336개(코스닥)에 달하며 시장 전반의 강세를 확인했다.

이날 증시 상승의 주요 배경은 미국 정부 셧다운 종료 가능성이 높아진 데 있다. 주말 미국 증시는 AI 고평가 논란으로 하락 출발했으나, 메타의 AI 설비투자 확대 발표와 엔비디아 젠슨 황 CEO의 AI 거품 우려 완화 발언에 낙폭을 축소했다. 더 중요한 것은 한국 장 개장 후 현지 상원에서 초당적 예산 패키지를 절차 표결로 진척시켰다는 소식이었다. 셧다운으로 인한 소비자물가 등 주요 경제지표 발표 연기와 재정 지출 중단을 우려하던 투자자들이 일제히 환호하며 아시아 증시 전반이 강세를 보였다. 닛케이225는 1.3%, 홍콩 항셍지수는 1.9% 상승했다.

신한투자증권 이재원 연구원은 "외국인이 11월 들어 연일 순매도를 지속하고 있지만, 매도 규모 자체는 크게 줄어들고 있다"며 "셧다운 종료 기대감이 외국인 매도세 완화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업종별로는 정책과 실적에 따른 희비가 엇갈렸다. 화장품주는 약세를 보였다. 코스맥스가 2.1%, LG생활건강이 0.2% 하락했다. 지난주 달바글로벌과 에이피알에 이어 또다시 시장 예상치를 크게 밑도는 실적을 발표한 영향이다. 반면 3차 상법개정안에 따른 배당 활성화 기대감이 커지면서 지주주와 금융지주 업종이 동반 상승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업종은 타이어, 온실가스, 정유였다. 타이어주는 판가 인상과 고인치 타이어 비중 확대에 따른 호실적 기대감에 한국타이어가 18.5%, 금호타이어가 7.8% 급등했다. 온실가스 관련주는 당정이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 53~61% 감축에 합의한 소식에 SGC에너지가 4.3%, 에코아이가 4.2% 올랐다. 정유주는 OPEC 증산 조절과 정제마진 개선 지속으로 S-Oil이 6.2%, GS가 11.8% 상승하며 업종 상승률 1위(7.3%)를 기록했다.

이날 증시에 또 하나의 호재로 작용한 것은 배당소득 분리과세 관련 정부 입장 변화 가능성이다.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주말 인터뷰에서 당정대가 배당소득 분리과세 시 적용 세율에 대한 국민 의견에 화답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세법 개정이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배당 확대 등 실효성을 담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기존 제시한 35%에서 여론과 여당 일부 의원의 의견을 반영해 25% 수준으로 인하할 가능성이 열린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원은 "배당소득 분리과세율이 시장 기대 수준으로 낮아질 경우 국내 기업들의 배당 확대 동력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며 "주주환원 정책 강화가 예상되는 금융, 지주업종에 긍정적"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이번 주 주요 일정으로는 미국 CoreWeave와 Rocket Lab 등의 실적 발표, 11일 한국 11월 1~10일 수출입동향 발표, 중국 광군제, 그리고 CJ제일제당·한국금융지주·삼성증권·파마리서치 등의 국내 기업 실적 발표가 예정돼 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073.24 ▲119.48
코스닥 888.35 ▲11.54
코스피200 575.31 ▲17.33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250,000 ▼457,000
비트코인캐시 768,500 ▲1,000
이더리움 5,351,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24,070 ▼170
리플 3,758 ▲2
퀀텀 2,900 ▼2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340,000 ▼358,000
이더리움 5,353,000 ▼22,000
이더리움클래식 24,060 ▼130
메탈 696 ▼4
리스크 305 ▼3
리플 3,761 ▲4
에이다 885 ▼4
스팀 127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260,000 ▼470,000
비트코인캐시 769,000 ▲500
이더리움 5,350,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4,050 ▼150
리플 3,762 ▲7
퀀텀 2,942 0
이오타 22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