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1.12(수)

"드론은 미래전 게임 체인저...주목할만한 드론 ETF"

미국, 드론 행정명령 발표로 규제 완화·공급망 자립 추진...팔란티어·크라토스 등 편입 ETF 분석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11-12 10:45:12

"드론은 미래전 게임 체인저...주목할만한 드론 ETF"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미국이 드론을 '세기적 혁신'으로 규정하고 드론 기술 우위 회복에 나서면서 관련 투자 전략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신한투자증권은 12일 발간한 'ETF 리포트'에서 드론이 미래전 교전 방식을 뒤흔들 세기적 혁신으로 평가받고 있다며 드론 ETF 투자 전략을 제시했다.

미국은 2025년 6월 6일 "미국 드론 지배력 강화"와 "미국 영공 주권 회복"이라는 두 개의 드론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드론 지배력 강화 행정명령은 규제 완화와 허가 절차 간소화를 통한 드론 개발 촉진, 미국산 드론 생산 기반 강화를 목표로 한다. 영공 주권 회복 행정명령은 미군 시설의 드론 급습 취약성을 지적하며 드론 위협 대응 체계 구축, 중국산 드론 규제, 국방 분야 드론 활용을 목표로 삼았다.

한 달 뒤인 7월 10일 미 헤그세스 국방장관은 "드론은 세기적이고 가장 큰 전장 혁신"이라며 러우전장에서 성능이 입증됐고 미국의 적들은 값싼 드론을 매년 수백만 대 생산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의 드론 행정명령 이상으로 드론 관련 규제를 철폐하고 공급망 자립과 물자 확보를 추진해 군의 드론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공문을 공개했다.
박우열 신한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전쟁의 승패는 싸우기 전에 결정난다는 손자병법처럼 무역, 자원, 제재 영역에서 양국의 전략적 준비 태세가 드러나고 있다"며 "결정적으로 전장의 판도를 뒤집는 것은 기존에 없던 신기술인 드론"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포브스는 '미군 드론에 심각한 중국산 문제'가 있다고 평가하는데, 미국 드론 시장 점유율 대부분을 이미 중국 드론 회사들이 장악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드론 역량만 평가한다면 명실상부한 현재 드론 강국은 중국이다. 정부 규제 완화에 힘입어 드론 사용이 일상이 됐으며 2023년 기준 민간 드론 등록 수량 126만대로 세계 1위, 관련 기업도 2만개에 육박한다. 2025년 10월 27일 CCTV는 AI 드론을 대거 투입한 인민해방군의 대만상륙작전 훈련 영상을 공개했다.

신한투자증권은 2025년 9월 26일 상장한 드론 ETF(JEDI.US)를 주목했다. 이 상품은 군용 드론, AI 군용 무기, 무인 체계, 통신·감시 자산, 우주항공 및 군용 위성, 미사일 솔루션, 사이버전자전, 군용 로봇 관련 매출 비중 50% 이상인 기업에 투자한다.

편입 종목은 전장 내 AI 혁신을 입증 중인 팔란티어를 필두로 차세대 드론 기술과 적 드론을 무력화할 수 있는 대드론 기술(C-UAS)을 개발하는 L3Harris, RTX, 크라토스 디펜스 등을 폭넓게 편입한다.

박 애널리스트는 "팔란티어와 크라토스 디펜스는 각각 PER 190배, 100배로 부담은 있지만 매출과 이익의 높은 성장세를 시현하며 드론 주도주로 자리하고 있다"며 "반대로 그 외 종목들은 밸류 부담이 낮다"고 분석했다.

현대 드론전의 두드러진 경제적 측면 중 하나는 극단적 비용 비대칭성이다. 공격자는 저가 드론을 대량 투입할 수 있는 반면 방어자는 고가의 요격 수단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공격자의 소형 드론 비용은 100만원 수준인 반면, 피격 방식에 따라 대드론 방어 비용은 수억에서 수십억까지 소요되므로 방어 비용은 50배에서 수백배까지 비싸다.
미군은 'Replicator Initiative'를 통해 저비용의 소모성 드론을 대량으로 확보했는데, 에어로바이런먼트의 Switchblade 600 자폭 드론이 대표적이다. 이 드론은 러우 전쟁에서 러시아군을 상대로 실전 유효성을 입증하면서 미군의 선택을 받게 됐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148.22 ▲41.83
코스닥 901.12 ▲16.85
코스피200 586.79 ▲5.38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4,492,000 ▲270,000
비트코인캐시 761,500 ▲3,500
이더리움 5,145,000 ▲21,000
이더리움클래식 23,630 ▼60
리플 3,589 ▲9
퀀텀 2,810 ▲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4,549,000 ▲235,000
이더리움 5,148,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3,640 ▼40
메탈 711 ▲5
리스크 505 ▲19
리플 3,592 ▲7
에이다 840 ▲6
스팀 130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4,510,000 ▲290,000
비트코인캐시 762,000 ▲2,500
이더리움 5,145,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3,630 ▼20
리플 3,590 ▲8
퀀텀 2,829 ▲39
이오타 21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