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해철 국회의원과 (사)한국자원폐기물환경협회는 12일 국회 의원회관 제2간담회의실에서 ‘청소차량 안전기준 마련을 위한 국회토론회’를 공동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유럽과 미국의 청소차량 안전기준을 살펴보고, 국내 청소차량 운행 실태와 문제점을 점검하기 위해 마련됐다.
토론회를 주관한 한국자동차모빌리티안전학회 하성용 회장은 “청소차량은 다른 나라에서도 범용 특장차로 사용되고 있다”며 “우리 기술로 안전한 후부발판을 개발·장착하면 해외 수출 가능성도 충분하다”고 말했다.
유성춘 한국자원폐기물환경협회 회장은 “전국 생활폐기물 수집·운반업체 노동자 37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91%가 후부발판 부재로 불편과 사고 위험을 겪고 있다”며 “설치 필요성에 공감한 응답이 92.3%에 달한 만큼 협회 차원에서 지원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국노총 경기본부 안산지역지부 방운제 의장은 “현재 청소차량 후부발판은 사실상 ‘죽음의 발판’으로 불리고 있다”며 “매년 환경미화원 사망사고가 이어지고 있어 조속한 안전기준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대신이엔지㈜ 인명노 소장은 “현행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86조 제7항은 ‘추락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한 경우’에 한해 차량 탑승을 허용한다”며 “혹한기 새벽작업의 안전을 위해 세부기준을 조속히 제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국인증연구원 김형태 이사는 “환경미화원의 생명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후부발판과 손잡이 규격을 우리 실정에 맞게 표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회와 한국자원폐기물환경협회는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정부 차원의 청소차량 안전기준 마련과 후부발판 설치계획 수립을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글로벌에픽 이수환 CP / lsh@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