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1.18(화)

한화운용, 중국 테크株 월배당 ETF 출격…"연 15% 분배 목표"

항셍테크 지수 추종하며 주간 커버드콜 전략 적용…상승 참여율 80% 확보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11-18 09:27:57

한화운용, 중국 테크株 월배당 ETF 출격…"연 15% 분배 목표"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한화자산운용이 중국 혁신 기업에 투자하면서 매월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기대할 수 있는 ETF를 선보였다. 최근 부각되고 있는 중국 시장의 투자 매력과 월배당 수요를 동시에 겨냥한 상품이다.

한화자산운용은 'PLUS 차이나항셍테크위클리타겟커버드콜'(종목코드 412880) ETF를 신규 상장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상품은 '중국판 나스닥'으로 불리는 항셍테크 지수에 투자하면서 주간 커버드콜 전략으로 연 15% 수준의 분배금을 목표로 한다.

항셍테크 지수는 알리바바, 텐센트, 샤오미, BYD 등 중국의 대표 혁신 성장주 30개 종목으로 구성돼 있다. 이 ETF는 월말을 지급기준일로 해 매월 분배금을 지급하며, 콜옵션 매도 비중을 약 20% 수준으로 가져가 월 1.25% 수준의 배당을 목표로 한다.

주목할 점은 주간 옵션 활용이다. 기존에는 항셍테크 지수의 옵션이 월간 단위로만 존재했지만, 지난해 9월부터 주간 단위 옵션이 생기면서 전략의 폭이 넓어졌다. 주간 옵션은 월간 대비 행사 가능성이 낮아 상대적으로 낮은 옵션 비중으로도 높은 프리미엄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약 80%의 지수 상승 참여율을 유지하면서도 안정적인 분배금 지급이 가능해진 것이다.
이 상품의 또 다른 강점은 높은 프리미엄이다. 커버드콜 전략은 주가 변동성이 클수록 콜옵션 매도 시 더 높은 프리미엄을 받을 수 있다. 항셍테크 지수는 S&P500, 나스닥100 같은 미국 주요 지수보다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동일한 전략을 쓰더라도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중국 시장 자체의 매력도 커지고 있다. 과거 반독점 규제로 빅테크 기업들을 압박했던 것과 달리, 최근 중국 정부는 경기 부양과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다. 밸류에이션도 매력적이다. 항셍테크 지수의 12개월 선행 PER은 19.9배, PBR은 2.8배로 2020년 수준 대비 낮은 편이다. 반면 ROE와 EPS는 2022년 이후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자금 유입도 증가하는 추세다. 올해 강구퉁(본토의 홍콩 투자) 순매수와 후선강퉁(외국인의 본토 투자) 거래대금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글로벌 자금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금정섭 한화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은 "AI 기술 주도권을 두고 미중 기술 격차가 빠르게 좁혀지고 있는 만큼, 포트폴리오의 일정 비중은 중국 시장에 투자할 것을 권한다"며 "이 상품은 중국 혁신 기업에 투자하면서 주간 콜옵션 매도 프리미엄을 재원으로 매월 안정적인 현금흐름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월배당 ETF에 대한 투자자 수요가 꾸준한 가운데, 미국 시장 의존도를 낮추고 중국 테크주로 분산 투자하려는 니즈가 늘고 있다"며 "항셍테크 지수의 높은 변동성을 활용한 커버드콜 전략이 실제 기대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고 평가했다.

중국 시장의 변동성과 정책 리스크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저평가된 밸류에이션과 정부의 적극적 지원 정책이 맞물리면서 투자 기회로 부각되고 있다. 한화운용의 이번 상품은 이러한 시장 흐름 속에서 성장성과 배당 수익을 동시에 노리는 투자자들의 선택지가 될 전망이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012.37 ▼76.88
코스닥 886.89 ▼15.78
코스피200 564.98 ▼11.67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5,760,000 ▼1,472,000
비트코인캐시 722,000 ▼10,000
이더리움 4,474,000 ▼59,000
이더리움클래식 21,350 ▼90
리플 3,173 ▼42
퀀텀 2,551 ▲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5,866,000 ▼1,394,000
이더리움 4,477,000 ▼61,000
이더리움클래식 21,380 ▼30
메탈 625 ▼11
리스크 343 ▼15
리플 3,176 ▼40
에이다 686 ▼10
스팀 11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5,770,000 ▼1,510,000
비트코인캐시 723,500 ▼6,500
이더리움 4,475,000 ▼59,000
이더리움클래식 21,370 ▼50
리플 3,177 ▼39
퀀텀 2,533 ▼24
이오타 18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