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A 씨가 B 씨 주거지와 직장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임시 보호 명령이 내려졌고, 사건 당일 오전에는 B 씨가 직접 법원에 A 씨에 대한 퇴거 신청서까지 제출했지만, 범행을 막지 못했다.
가정폭력은 엄연한 이혼 사유이자 범죄로, 과거에는 개인 가정사라고 치부했던 가정 내 폭력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이 점점 엄격해지고 있다. 가해를 한 배우자로부터 빠르게 피해자를 분리시키고 가해 배우자가 합당한 책임을 질 수 있게 하는 것이 최근 판례의 큰 동향으로 읽히는 상황이다.
먼저 가정폭력이란 배우자, 부모, 자식, 형제 자매, 사실혼 관계에 있는 사람 등을 대상으로 행해지는 폭력적인 행위 또는 폭력에 의해 지배되는 행위 전반을 말하며 폭력, 학대의 행위에는 신체적 학대 행위를 포함해 폭언 등 언어적 학대, 정신적 학대, 성적 학대, 또는 직업을 갖지 못하게 하거나, 생활비를 주지 않는 등 경제적 학대도 포함된다.
그러나 실제로 폭력이 발생했다고 해도 이혼으로 이어지기까지 과정은 쉽지 않은데, 이는 피해자가 스스로 가정 폭력임을 인지하지 못해서 생기는 경우가 많아서다. 하지만 어떤 경우라도 물리적, 정신적, 경제적, 성적인 압박이 가정 내 있어서는 안 되며, 이런 행위가 있었을 경우 부부로서 존중받지 못하는 행위이므로 법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
가정폭력은 대부분 상습적이고 반복적으로 피해가 이어지기 때문에 가정 내의 문제로만 치부하고 가벼이 생각한다면 가정폭력의 대상이 넓어져 어린 자녀에게도 피해가 이어질 수 있다. 단 한 대라도 폭행당했을 경우, 이를 사유로 삼아 이혼을 청구 가능하며, 위자료를 청구하여 배상 요구를 할 수 있다. 이때 폭행, 상해 등 범죄가 동시에 의율 됐을 경우 별도의 형사소송을 제기해 가해자가 처벌받도록 할 수도 있다.
만약 가정폭력으로 고통받아 이혼을 고려 중이라면 이혼사건과 형사사건을 동시에 많이 다뤄본 전문 변호사의 도움을 받는 것이 도움이 된다.
도움말 법무법인오현 김한솔 이혼전문변호사
황성수 글로벌에픽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