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7.27(일)

지난해 항공여객 4년만에 1억명 넘어…국내선 97.6%·국제선 75.6% 회복

이성수 CP

2024-01-11 09:26:33

(사진=연합)

(사진=연합)

이미지 확대보기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을 맞은 지난해 국내선·국제선을 합한 항공 여객 수가 4년 만에 다시 1억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9년의 81.5%를 회복한 수준이다.

11일 국토교통부 항공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항공 여객 수는 1억50만8천875명으로, 2019년 1억2천336만6천608명의 81.5%를 회복했다.

지난 2020∼2022년 연간 항공 여객 수는 코로나로 인해 2019년의 절반에도 못미쳤다.

특히 국제선 항공 여객은 코로나 기간인 지난 2021년에는 321만명으로 쪼그라들기도 했다.
그러나 지난해 국내선 항공 여객 수는 3천219만명으로 2019년(3천298만명)의 97.6% 수준으로, 국제선 항공 여객 수는 6천832만명으로, 4년 전(9천39만명)의 75.6%로 회복했다.

지난 2019년과 비교한 지난해 지역별 국제선 회복률을 보면 일본이 102.8%로 개별 국가 가운데 가장 높았다. 작년 일본 노선 이용객은 1천938만명으로 2019년에 비해 50만명 이상 증가했다.

1년 내내 이어진 엔저(엔화 약세) 현상으로 여행 비용이 크게 줄었고 항공편 공급도 급증한 데 따른 것이다.

미주 노선 항공 여객은 561만명으로 2019년에 비해 1.2% 증가했다. 미주는 다른 지역들보다 상대적으로 엔데믹 전환이 빨랐다.

반면 중국 본토 노선 여객은 지난해 685만명에 그쳐 2019년(1천843만명)의 37.1%에 불과했다.

지난해 8월 중국인의 한국 단체관광이 재개됐지만, 중국 경기 침체로 해외여행 수요 자체가 감소했다. 이는 단체관광 위주였던 여행 트렌드가 개별 관광으로 바뀐 영향때문으로 분석된다.
유럽 노선은 지난해 263만명이 이용하면서 회복률이 64.5%였고, 대양주 노선은 263만명이 이용해 회복률 75.3%로 집계됐다.

일본과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노선은 지난해 2천850만명이 이용해 회복률이 78.2%로 나타났다. 아시아 노선 중에서는 말레이시아(120만명·52%)와 홍콩(182만명·50%), 마카오(22만명·25%) 등의 회복률이 낮았다.

이성수 글로벌에픽 기자 lss@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6.05 ▲5.60
코스닥 806.95 ▼2.94
코스피200 430.78 ▲0.75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312,000 ▼114,000
비트코인캐시 807,500 ▲4,500
이더리움 5,231,000 ▲61,000
이더리움클래식 31,300 ▲340
리플 4,378 ▲24
퀀텀 3,195 ▲1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259,000 ▼44,000
이더리움 5,232,000 ▲63,000
이더리움클래식 31,340 ▲370
메탈 1,117 ▲4
리스크 658 ▲9
리플 4,380 ▲26
에이다 1,132 ▲10
스팀 20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280,000 ▼140,000
비트코인캐시 805,000 ▲2,500
이더리움 5,230,000 ▲65,000
이더리움클래식 31,230 ▲320
리플 4,379 ▲26
퀀텀 3,170 0
이오타 297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