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7.08(화)

KAIST, 인공지능 화학 학습으로 새로운 소재 개발 가능

안재후 CP

2024-10-09 12:33:32

화학 기본 개념 (왼쪽)을 배운 AI가 다양한 소재 (오른쪽)의 물성을 예측하는 내용을 담은 모식도.

화학 기본 개념 (왼쪽)을 배운 AI가 다양한 소재 (오른쪽)의 물성을 예측하는 내용을 담은 모식도.

이미지 확대보기
새로운 물질을 설계하거나 물질의 물성을 예측하는 데 인공지능을 활용하기도 한다. 한미 공동 연구진이 기본 인공지능 모델보다 발전되어 화학 개념 학습을 하고 소재 예측, 새로운 물질 설계, 물질의 물성 예측에 더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는 인공지능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KAIST(총장 이광형)는 화학과 이억균 명예교수와 김형준 교수 공동 연구팀이 창원대학교 생물학화학융합학부 김원준 교수, 미국 UC 머세드(Merced) 응용수학과의 김창호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새로운 인공지능(AI) 기술인 ‘프로핏-넷(이하 PROFiT-Net)’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인공지능은 유전율, 밴드갭, 형성 에너지 등의 주요한 소재 물성 예측 정확도에 있어서 이번 기술은 기존 딥러닝 모델의 오차를 최소 10%, 최대 40%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보여 주목받고 있다.

PROFiT-Net의 가장 큰 특징은 화학의 기본 개념을 학습해 예측 성능을 크게 높였다는 점이다. 최외각 전자 배치, 이온화 에너지, 전기 음성도와 같은 내용은 화학을 배울 때 가장 먼저 배우는 기본 개념 중 하나다.
기존 AI 모델과 달리, PROFiT-Net은 이러한 기본 화학적 속성과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직접적으로 학습함으로써 더욱 정밀한 예측을 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새로운 물질을 설계하거나 물질의 물성을 예측하는 데 있어 더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며, 화학 및 소재 과학 분야에서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형준 교수는 "AI 기술이 기초 화학 개념을 바탕으로 한층 더 발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ˮ고 말했으며 “추후 반도체 소재나 기능성 소재 개발과 같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AI가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을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ˮ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KAIST의 김세준 박사가 제1 저자로 참여하였고, 국제 학술지 `미국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에 지난 9월 25일 字 게재됐다.

(논문명: PROFiT-Net: Property-networking deep learning model for materials)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NRF)의 나노·소재 기술개발(In-memory 컴퓨팅용 강유전체 개발을 위한 전주기 AI 기술)과 탑-티어 연구기관 간 협력 플랫폼 구축 및 공동연구 지원사업으로 진행됐다.

PROFiT-Net 구조

PROFiT-Net 구조

이미지 확대보기

다양한 소재 물성 예측에서의 다른 딥러닝 모델 대비 PROFiT-Net의 오차범위

다양한 소재 물성 예측에서의 다른 딥러닝 모델 대비 PROFiT-Net의 오차범위



KAIST 화학과 이억균 명예교수

KAIST 화학과 이억균 명예교수



KAIST 화학과 김형준 교수

KAIST 화학과 김형준 교수

이미지 확대보기


KAIST 화학과 김세준 박사(제1저자)

KAIST 화학과 김세준 박사(제1저자)



[안재후 글로벌에픽 기자/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11.84 ▲52.37
코스닥 783.21 ▲4.75
코스피200 420.86 ▲7.84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738,000 ▲220,000
비트코인캐시 679,500 0
이더리움 3,481,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2,520 ▲50
리플 3,100 ▲6
퀀텀 2,675 ▲1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874,000 ▲285,000
이더리움 3,488,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2,540 ▲100
메탈 914 ▲4
리스크 517 ▲1
리플 3,104 ▲7
에이다 790 ▲2
스팀 181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880,000 ▲270,000
비트코인캐시 680,500 ▲1,500
이더리움 3,485,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2,490 ▼40
리플 3,104 ▲9
퀀텀 2,665 0
이오타 2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