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7.05(토)

실리콘투, "지분 팔았지만 판은 안 깨졌다"…목표가 41% 상향

유안타증권, "지분 매도는 단기 이슈, 실적 모멘텀 여전히 유효"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7-04 14:36:49

실리콘투, "지분 팔았지만 판은 안 깨졌다"…목표가 41% 상향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K-뷰티 글로벌 유통업체 실리콘투가 최근 대표이사와 임원진의 지분 매도로 주가 조정을 받았지만, 실적 기반의 성장 모멘텀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유안타증권은 4일 실리콘투에 대해 목표주가를 기존 4만9천원에서 6만9천원으로 40.8% 상향 조정하며 '매수(BUY)' 의견을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실리콘투는 지난 7월 2일 김성운 대표이사 및 특수관계인의 지분율이 51.18%에서 50.53%로 0.65%포인트 감소했다고 공시했다. 이후 주가는 13.6% 하락했다.

이승은 유안타증권 애널리스트는 "김성운 대표의 매도는 수백억원 규모의 증여세를 연부연납 방식으로 납부하기 위한 유동화 조치"라며 "일부 임원진은 장기간 보유한 지분의 일부를 차익 실현한 성격으로, 기업 펀더멘털이나 실적 전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지분 구조상 몇 년간 일정 물량의 반복적인 매도는 불가피해 보인다. 지분율은 여전히 안정적인 수준이나, 시장은 앞으로 지분이 언제 나올지 알 수 없다는 점과 그때 주가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더 걱정한 것으로 보인다.

실리콘투의 실적 모멘텀은 여전히 강력하다. 2분기 연결 영업이익은 650억원으로 시장 기대치(549억원)를 18.4%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유럽 시장에서의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2분기 유럽 매출액은 1천23억원(전년동기대비 +130%)이 예상되며, 폴란드를 거점으로 한 유럽 내 입지 확대가 뚜렷하다. 동사는 유럽 시장 내에서 부츠(BOOTS), 로스만(Rossmann), 세포라(Sephora) 등 주요 리테일 체인과의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자사 직영 채널인 모이다(MOIDA) 매장을 통한 브랜드 접점 확장도 성과를 보이고 있다. 최근 프랑스 파리에 오픈한 모이다 매장은 평일 기준 하루 방문객 200명, 매출 700만~1천만원, 주말에는 500명 이상이 몰려 일매출 2천500만원에 달하는 성과를 기록했다.

하반기부터는 신규 지역 진출이 본격화된다. 중동 지역은 5월경 100억원 규모의 초도 물량을 출하했으며, 3분기부터 매출로 인식될 전망이다. 중남미 시장은 8월부터 현지 인력을 파견해 자회사 설립을 추진 중이며, 빠르면 3분기 말부터 수출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브랜드 믹스 측면에서도 달바, 셀리맥스, 퓨리토서울 등 신흥 고성장 브랜드 중심으로 포트폴리오가 더욱 견고해지고 있다. 기존의 메디큐브, 바이오던스, 닥터엘시아와 함께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구축했다는 평가다.

이 애널리스트는 "지분 매도 영향은 제한적이며, 실적 모멘텀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상향했다"며 "최근 주가 조정은 과매도 구간으로 판단되며, 중장기 매수 접근이 유효한 구간"이라고 강조했다.

실리콘투는 시가총액 3조2천360억원으로 외국인 지분율이 8.77%에 달한다. 52주 최고가 6만1천800원, 최저가 2만3천550원을 기록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054.28 ▼61.99
코스닥 775.80 ▼17.53
코스피200 412.74 ▼8.20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124,000 ▼98,000
비트코인캐시 655,000 0
이더리움 3,408,000 ▼29,000
이더리움클래식 22,220 ▼150
리플 3,029 ▼8
퀀텀 2,676 ▲2,67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113,000 ▼187,000
이더리움 3,410,000 ▼26,000
이더리움클래식 22,200 ▼220
메탈 913 ▼8
리스크 513 ▼2
리플 3,028 ▼9
에이다 781 ▼4
스팀 174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340,000 ▲10,000
비트코인캐시 656,500 ▲2,000
이더리움 3,410,000 ▼28,000
이더리움클래식 22,200 ▼250
리플 3,028 ▼9
퀀텀 2,679 ▼20
이오타 21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