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6 세계 경제 시나리오'는 AI 투자 과열, 유럽·중국의 부채 압력, 경기침체 신호가 세계 곳곳에서 포착되는 가운데, 저자는 2026년을 자산 재편의 원년이 될 것이라고 진단하며 시나리오 기반의 대응 전략을 제시한다.
책에서는 MIT, 피치북, 가트너 등 주요 기관들이 경고한 AI 투자 실망감, 현금 고갈, 기술적 한계가 이미 버블의 균열을 드러내고 있으며, 엔비디아의 과열 신호와 GPU 수요 변화는 2000년 닷컴 버블을 연상시키는 위험 징후로 분석한다. 이를 ‘위태로운 균형’이라 규정하고 급격한 붕괴와 완만한 조정 두 시나리오로 전망을 분석한다.
특히 한국 경제에 대한 분석은 더욱 날카롭다. AI 버블 붕괴의 직격탄을 맞을 수 있는 반도체 산업, 중국 경기 침체의 고스란한 영향, 높은 안일함이 만들어 낼 한국형 민스키 모멘트까지 제시한다. 동시에 한국은 구조적 취약성에 놓여 있다는 진단과 함께 기술·제조 중심 산업 재편과 정책적 전략을 통해 오히려 도약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함께 제시한다.
저자 최윤식은 세계적 거장들의 연구 모임인 세계전문미래학자협회(APF) 이사회 임원으로 활동하면서 아시아 대표 전문 미래학자로 주목받아 왔다. 현재는 아시아미래인재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하며 미래전략·국가정책·기업 경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문과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책을 펴낸 도서출판 넥서스BIZ 관계자는 “2026년은 기존의 투자 공식을 재검토해야 하는 변곡점이 될 것”이라며 “전례 없는 복합 위기의 소용돌이 속으로 진입하고 과거의 성공 방정식은 통하지 않는다. 변화의 파도를 읽고 새로운 포지션을 잡아야 할 때이다.”라고 출간 의의를 밝혔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