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1.28(금)

“10년 수익률 승자는 초대형 기술주 10종” S&P500 Top10, 미국 대표 지수 중 압도적 1위

AI·반도체 중심 메가테크 성장에 ‘승자독식’ 구조 심화… 위험 대비 성과도 최고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11-28 10:34:17

“10년 수익률 승자는 초대형 기술주 10종” S&P500 Top10, 미국 대표 지수 중 압도적 1위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최근 10년간 미국 주요 지수를 비교한 결과, 시가총액 상위 초대형 기술주로 구성된 ‘S&P500 Top10’ 지수가 수익률과 위험 조정 수익률 모두에서 가장 높은 성과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AI·반도체 등 메가테크 기업들이 구조적 성장세를 이어가며 압도적 시장 지배력을 강화한 것이 주된 이유로 분석된다.

KCGI자산운용은 지난 18일 기준 6개 미국 대표 지수(S&P500 Top10, Indxx US Tech Top10, 나스닥100, 나스닥, S&P500, S&P500 동일가중)를 비교한 결과, ‘S&P500 Top10’ 지수가 1년·3년·5년·10년 전 구간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고 26일 밝혔다.

‘S&P500 Top10’ 지수는 시총 상위 10대 기업으로 구성되며 1년 수익률 27.1%, 10년 누적 수익률 526.1%를 기록했다. 뒤이어 미국 기술주 상위 10개로 구성된 ‘Indxx US Tech Top10’ 지수가 같은 기간 486.9%로 2위를 차지했다.

반면 시총과 무관하게 종목을 균등 비중으로 구성한 ‘S&P500 동일가중’ 지수는 10년 수익률이 134.7%에 그쳐 분석 대상 중 가장 낮았다. 다양한 종목에 골고루 투자한 분산 전략이 초대형 기술주가 지배하는 시장에서는 오히려 역효과를 낸 셈이다.
AI·메가테크 중심 ‘쏠림’이 성과 격차 키워

전문가들은 엔비디아,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초대형 기술기업의 실적 급증이 지수 간 성과 차이를 만든 핵심 요인이라고 설명한다.

AI 인프라 투자, 반도체 수요 폭증, 클라우드 시장 확대 등 구조적 성장 동력이 집중되면서 상위 기업들의 영향력이 더욱 강화됐다는 분석이다.

KCGI자산운용은 “향후에도 상위 기술기업들의 데이터센터 투자와 AI 경쟁이 지속될 것”이라며 “단순 분산보다 시장 구조를 반영한 집중 포트폴리오 전략의 효율성을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위험 대비 성과도 최상위… 변동성 넘는 초과 수익

위험 대비 수익률을 보여주는 샤프지수에서도 집중 포트폴리오의 성과가 돋보였다.
‘S&P500 Top10’의 10년 샤프지수는 0.95로 가장 높았고, ‘Indxx US Tech Top10’이 그 뒤를 이었다. 이는 동일 위험 수준에서 나스닥(0.82), S&P500(0.75)보다 더 높은 성과를 냈다는 의미다.

변동성 측면에서는 ‘S&P500’이 10년 표준편차 18.6%로 가장 안정적이었다. 반면 ‘S&P500 Top10’은 23.5%로 비교적 변동성이 높았지만, 10년 수익률 526%라는 압도적 성과가 이를 상쇄하고도 남았다는 평가다.

KCGI자산운용은 “S&P500 Top10에는 버크셔 해서웨이 등 비기술주가 포함돼 기술주 10종만 담은 Tech Top10보다 변동성이 낮다”며 “초대형 기술주의 시장 장악력은 당분간 약화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10년 수익률 승자는 초대형 기술주 10종” S&P500 Top10, 미국 대표 지수 중 압도적 1위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926.59 ▼60.32
코스닥 912.67 ▲32.61
코스피200 554.00 ▼9.36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138,000 ▲1,386,000
비트코인캐시 806,500 ▲9,500
이더리움 4,592,000 ▲60,000
이더리움클래식 20,900 ▲180
리플 3,313 ▲37
퀀텀 2,444 ▲1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9,269,000 ▲1,395,000
이더리움 4,595,000 ▲58,000
이더리움클래식 21,040 ▲200
메탈 643 ▲4
리스크 277 ▲3
리플 3,319 ▲33
에이다 650 ▲9
스팀 11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100,000 ▲1,360,000
비트코인캐시 806,000 ▲9,500
이더리움 4,592,000 ▲64,000
이더리움클래식 20,880 ▲170
리플 3,313 ▲37
퀀텀 2,409 0
이오타 17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