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1.28(금)

글로벌 증시 '선택적 랠리'...증권사가 선택한 '톱픽' 10

일라이 릴리 시총 1조弗 돌파·알파벳 55% 급등… "실적 검증된 주도주 주목"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11-28 09:12:55

글로벌 증시 '선택적 랠리'...증권사가 선택한 '톱픽' 10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11월 글로벌 증시는 빅테크 우려 속에서도 업종별로 뚜렷한 명암이 갈렸다. 전월 대비 0.1% 소폭 하락했지만, 미국은 0.3% 상승하며 선방했다. IT주 투심 약화에도 구글 밸류체인과 헬스케어주가 지수를 떠받쳤다.

일라이 릴리는 1개월간 33.8% 급등하며 헬스케어 종목 최초로 시총 1조 달러를 돌파했고, 알파벳은 제미나이 3.0 호평에 힘입어 24.4% 상승했다. 중국은 고배당주 중심 수급 분산 속에 12월 랠리를 기대하고 있으며, 유럽은 은행주와 산업재가 강세를 보였다.

신한투자증권 최원석 애널리스트는 "AI 반도체와 데이터센터 기업들의 가파른 성장세가 확인됐다"며 "4분기에도 호실적이 기대되는 만큼 실적 검증된 주도주에 주목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다음은 신한투자증권이 주목한 글로벌 톱픽 10선이다.
알파벳 (GOOGL.US), 구글 클라우드, TPU, Gemini 모두 승승장구

알파벳이 AI 경쟁에서 다시 한번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11월 18일 공개된 제미나이 3.0이 시장의 호평을 받으며 주간 활성 사용자(WAU)가 급등했고, 첫날부터 AI Mode와 기업용 서비스에 즉시 적용됐다. 1개월간 주가는 24.4%, 3개월간 55.1% 상승하며 시가총액 6조 7,660억 달러를 기록했다. TPU(텐서 처리 장치)의 경우 최근 앤트로픽과의 대규모 계약과 메타와의 도입 논의가 보도되며 내부 자산에서 시장으로 확대되는 모습이다. 2025년 기준 PER 30.2배, PBR 9.5배로 밸류에이션은 합리적인 수준이다. AI 매출 가이던스 상향 시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이 예상되며, 연말까지 투자 매력이 지속될 전망이다.

브로드컴 (AVGO.US), ASIC 시장 대장주, 성장 기대감 지속

브로드컴이 ASIC 시장의 최대 수혜주로 떠오르고 있다. 구글 제미나이 3.0의 핵심 수혜주로 주목받으며 연말 TPU 신규 칩 적용 본격화가 기대된다. 1개월간 8.7%, 3개월간 29.2% 상승했고 시가총액은 1조 8,770억 달러에 달한다. 12일 실적 발표를 앞두고 AI 매출 성장 기대감이 적극 반영되고 있으며, AI 매출 가이던스 상향 시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이 예상된다. 다만 PER 244.4배, PBR 56.7배로 밸류에이션 부담은 존재한다. 향후 ASIC 시장 확대에 따른 장기 성장성이 주가 상승을 뒷받침할 것으로 전망된다.

마이크론 (MU.US), 2026년 이익 추정치 상향 지속

마이크론의 실적 개선세가 뚜렷하다. DRAM과 NAND 모든 제품의 현물가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공급이 제한된 가운데 고부가 제품 중심의 수익성 개선이 추진되고 있다. 1개월간 2.5%, 3개월간 92.7% 급등하며 시가총액 2,590억 달러를 기록했다. DRAM 호조와 NAND 업황 개선 흐름이 동반되면서 가격 상승과 출하 증가가 맞물려 메모리 업종 전반의 실적 우상향이 기대된다. PER 30.6배로 합리적인 수준이며, 2026년 이익 추정치 상향 조정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버티브 (VRT.US), 2026년 실적 기대감을 키울 시점

데이터센터 인프라 기업 버티브가 빅테크의 투자 확대로 수혜를 입고 있다.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대비 29% 증가했지만 수주는 60% 급증했다. 이는 2025년에 발표된 빅테크의 데이터센터 투자가 아직 반영되기 전 수치다. 1개월간 7.5% 하락했지만 3개월간 34.5% 상승했고, 시가총액은 660억 달러다. 수주 증가세는 2026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회사 목표보다 가파른 실적 성장이 달성 가능할 전망이다. PER 36.6배, PBR 22.0배로 성장성을 감안하면 매력적인 수준이다.

퍼스트솔라 (FSLR.US), 미국 추가 증설 발표 & 성장 모멘텀 재개

태양광 기업 퍼스트솔라가 미국 생산 확대로 새로운 성장 모멘텀을 맞이하고 있다. 7월 미국 OBBBA 통과 후 3분기 수주가 반등했으며, 2024년 분기 평균 1~2GW 수주에서 3분기 4GW를 기록했다. 1개월간 7.8%, 3개월간 32.4% 상승하며 시가총액 290억 달러를 달성했다. 미국 생산 캐파는 2022년 2.7GW, 2024년 10.6GW, 2026년 14.1GW로 확대됐고, 추가 증설 발표로 2027년 17.8GW로 늘어날 예정이다. PER 63.4배로 높은 편이지만 성장성을 고려하면 정당화될 수 있다.

로켓랩 (RKLB.US), 4분기 역대 최대 미션 수행

우주산업 기업 로켓랩이 일렉트론 발사 단가와 마진 상승으로 주목받고 있다. 3분기 실적에서 일렉트론 발사 단가와 마진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고, 17회 미션 발사 계약을 체결했다. 1개월간 34.0% 하락했지만 3개월 수익률은 -11.5%로 조정 국면을 겪고 있다. 시가총액은 220억 달러다. 4분기에는 4회 미션 발사를 진행하며, 12월 일본, 유럽, 한국 정부 향 미션 발사가 예정돼 역대 최대 발사 미션을 수행한다. PER 43.8배, PBR 15.3배로 우주산업의 성장성을 감안하면 투자 매력이 있다.

일라이 릴리 (LLY.US), 헬스케어 최초 시총 1조 달러 돌파

일라이 릴리가 글로벌 헬스케어 종목 중 최초로 시가총액 1조 달러를 돌파하며 역사를 썼다. 1개월간 33.8%, 3개월간 50.0% 급등하며 시가총액 1조 440억 달러를 기록했다. 내년 상반기 경구 비만약 출시 기대감으로 내러티브가 회복되고 있으며, 비만과 당뇨약 중심의 실적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 약가 인하와 관세 리스크가 완화된 점도 주가 상승세를 뒷받침한다. PER 26.9배, PBR 11.8배로 대형 헬스케어주 치고는 합리적인 밸류에이션이다. 지속적인 모멘텀으로 추가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

템퍼스 AI (TEM.US), 과도한 하락은 오히려 빠른 반등 가능

의료 AI 기업 템퍼스 AI가 과도한 하락 이후 반등 구간에 진입했다는 분석이다. 3분기 견조한 실적과 파트너십 등 투자심리를 견인할 이벤트가 존재하지만, 주식시장 약세에 따라 1개월간 13.9% 하락했다. 3개월 수익률은 0.7%로 거의 보합 수준이며, 시가총액은 140억 달러다. 주가 레벨이 매력적인 구간까지 하락한 가운데 실적과 투자심리가 견고해 급반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의료 AI 시장의 성장성을 감안하면 현 수준은 매수 기회로 평가된다.

중국 AI ETF (159819.SZ), 실적으로 검증된 AI 빅사이클

중국 AI 섹터가 조정 후 재반등을 준비하고 있다. 3분기 실적에서 AI 반도체,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인프라 기업들의 가파른 성장세가 확인됐다. 1개월간 6.1% 하락했지만 3개월간 6.4% 상승하며 시가총액 30억 달러를 기록했다. 북미 하이퍼스케일러의 CapEx 확대와 로컬 반도체 국산화 자립 가속으로 4분기에도 호실적이 기대된다. PER 34.0배, PBR 14.6배로 중국 테크주의 밸류에이션 메리트가 부각되고 있다. 주도주 중심의 랠리가 지속될 전망이다.

중국 공급 개혁 ETF (516160.SH), 2차전지·태양광 반등 본격화

중국 정부의 공급 개혁 의지 강화로 2차전지와 태양광 밸류체인의 가격 반등이 본격화되고 있다. 1개월간 0.9%, 3개월간 25.0% 급등하며 시가총액 10억 달러를 기록했다. 2026년 업황 턴어라운드와 상위 기업 중심의 시장 재편이 예상된다. PER 210.0배로 높은 수준이지만 턴어라운드 국면에서는 정당화될 수 있다. 대형주로 구성된 이 ETF는 중국 신재생에너지 섹터의 구조조정 수혜를 누릴 수 있는 투자 수단으로 평가된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943.17 ▼43.74
코스닥 906.91 ▲26.85
코스피200 556.68 ▼6.68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5,896,000 ▼646,000
비트코인캐시 802,000 ▲4,000
이더리움 4,490,000 ▼27,000
이더리움클래식 20,660 ▼160
리플 3,270 ▼23
퀀텀 2,388 ▼1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380,000 ▼613,000
이더리움 4,494,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20,760 ▼110
메탈 635 ▲1
리스크 275 ▼1
리플 3,272 ▼22
에이다 639 ▼8
스팀 118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5,910,000 ▼520,000
비트코인캐시 801,000 ▲6,000
이더리움 4,494,000 ▼22,000
이더리움클래식 20,650 ▼50
리플 3,269 ▼24
퀀텀 2,397 0
이오타 17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