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대림산업은 '머신 컨트롤(Machine Control)' 기술을 현장에 도입했다. 머신 컨트롤은 굴삭기, 불도저 등 건설장비에 각종 센서와 디지털 제어기기 등을 탑재해 진행 중인 작업을 도와주는 기술이다. 장비 기사는 운전석에 앉아 작업 범위, 작업 진행 현황, 주변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굴삭기의 경우 별도의 측량작업 없이 굴착작업의 위치와 깊이 등 각종 정보를 20mm 허용오차 이내로 정밀하게 확인 가능하다. 대림산업은 머신 컨트롤 기술을 통해 작업능률을 높이는 동시에 시공 오류로 인한 공사 재작업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올해 현대건설은 '다관절 산업용 로봇'을 국내 건설 현장에 시범적으로 적용한다. 인공지능(AI) 기술을 갖춘 현대건설의 산업용 로봇은 사람의 손만큼 정밀하게 작업할 수 있다. 드릴링, 페인트칠 등 단일 작업이 가능한 건설 현장에 우선 투입할 예정이다. 로봇은 24시간 작업이 가능해 공사 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사고 위험이 높은 공정에 투입할 경우 안전사고도 막을 수 있다.
주로 생활용품이나 디지털 제품에 적용되는 QR코드가 건설현장에 등장했다. 쌍용건설은 '디지털 공사 관리 플랫폼을' 활용하고 있다. 관리자는 QR코드를 기반으로 건설현장의 시공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으로 건물 벽면에 부착된 QR코드를 스캔하면 공종별 진행 사항을 확인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쌍용건설은 QR코드 기반의 시스템을 통해 현장 상황을 파악하는데 투입되는 비용과 시간을 대폭 줄이고 업무생산성도 높일 방침이다.
차진희 글로벌에픽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