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미리미리 웹·모바일로 탑승수속을 하거나, 키오스크를 이용해 직접 탑승수속을 하면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직접 수하물까지 보내면 시간을 추가로 절약할 수 있다.
대한항공은 17일, 여름 휴가철을 맞아 고객들이 시간은 아끼고, 여행의 즐거움을 충분히 더 누릴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의 셀프체크인(Self Check-In) 방법을 소개했다.
우선 셀프체크인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항공사를 선택한다. 가장 쉬운 방법은 온라인을 통한 사전 체크인이다.
대한항공은 모바일 앱(App)과 홈페이지 두 곳에서 미리 체크인이 가능하다. 방법은 간단하다.
모바일 탑승권만 있으면 공항에 도착해 탑승수속을 위한 줄을 설 필요 없이 셀프백드롭 카운터에서 위탁수하물만 부치고 출국하면 돼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체크인 가능시간을 기억해두면 도움이 된다. 국내선은 항공편 출발 48시간~30분 전 가능하며, 국제선은 항공편 출발 48시간~1시간 전에 가능하다.
단, 미국·캐나다 항공편의 경우엔 가능시간이 짧아져 출발 24시간~1시간 전에 이용할 수 있다.
온라인 체크인을 완료했음에도 국내선 20분 전, 국제선 1시간 전까지 출국장에 입장하지 않으면 체크인이 자동 취소되니, 시간에 맞춰 출국장에 들어가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오토체크인도 사전체크인의 한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서비스는 항공권 구매 결제를 완료하면 신청할 수 있다. 결제를 마쳤다면 예약 조회 후 ‘체크인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오토체크인 신청 고객은 항공편 출발 24시간 전에 별도의 조치 없이도 자동으로 체크인이 되며, 고객이 입력한 탑승권 수령 연락처(카카오톡 알림톡 또는 이메일)로 모바일 탑승권이 전송된다.
온라인 사전체크인을 못했다고 해도 걱정할 필요는 없다.
공항에 설치된 무인 탑승 수속 시스템인 ‘키오스크(KIOSK)’를 이용하면 된다. 출발시간 기준 국제선 1시간, 국내선 30분 전까지 키오스크를 통해 탑승권 발급이 가능하다.
다만 키오스크를 사용하기 위해선 조건이 있다. 키오스크를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은 반드시 예약이 확정된 전자 항공권(e-티켓)을 소지해야 한다.
만약 대한항공을 통해 구매한 타 항공사 운항편, 즉 코드쉐어 항공편을 탑승하는 승객이라면 키오스크 이용 가능 여부를 해당 항공사로 문의해 확인해야 한다.
셀프체크인을 마친 후에는 셀프백드롭 서비스 이용해 위탁수하물을 처리할 수 있다.
항공사 직원의 도움 없이 고객이 직접 수하물을 처리하는 서비스다. 이용 방법이 어렵지 않고 시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어 점차 이용객이 느는 추세다.
셀프백드롭 카운터에서 위탁수하물을 처리하기 위해선 몇 가지 조건이 있다.
특히 고객 본인의 항공권에 맞는 무료 수하물 허용량 이내의 무게여야 한다.
대한항공은 셀프백드롭 서비스를 지속 확대하고 있다.
인천공항에 2023년 7월 기준 셀프백드롭 카운터 34개를 열어두고 있으며, 2023년 2월에는 국내 항공사 최초로 ‘국내선 셀프백드롭 서비스’를 부산 김해공항에 도입했다. 기존 국제선에만 제공하던 서비스를 국내선까지 확대 적용함으로써 키오스크, 웹·모바일, 오토체크인과 연계해 국제선뿐만 아니라 국내선도 탑승수속 모든 과정의 셀프화가 이뤄지게 됐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유창규 글로벌에픽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