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6(목)
(사진=연합)
(사진=연합)
건설기업 5곳 중 2곳은 정상적인 채무 상환이 어려운 '잠재적 부실기업'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8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의 '건설외감기업 경영실적 및 한계기업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건설업계(이하 모두 외감기업 기준)의 이자보상배율은 4.1배로 집계됐다.

건설업의 이자보상배율은 지난해 급락하면서 최근 5년간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전체 산업의 이자보상배율이 5.1배인 것을 고려하면 건설업계의 채무 상환 능력은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다.

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의 채무 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영업이익을 금융비용(이자비용)으로 나눠 산출한다.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기업은 영업이익보다 이자비용이 많아 정상적 채무 상환이 어려운 잠재적 부실 상태로 진단되며, 한국은행은 이러한 기업을 '취약기업'으로 분류한다.
지난해 이 배율이 1 미만인 건설기업, 즉 잠재적 부실기업은 929곳으로, 건설업 전체의 41.6%를 차지했다. 4년 만에 10%포인트 가까이 오른 수준이다.

지난해 건설업계의 이자보상배율 1 미만 기업 비중은 전체 산업 평균인 36.4%보다도 컸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은 큰 변화가 없었지만, 중소기업은 급증세를 보였다.

한계기업에 해당하는 건설 대기업은 2020년 46곳에서 2021년 47곳, 지난해에는 54곳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반면 중소기업의 경우 2020년 259곳에서 2021년 302곳, 지난해에는 333곳으로 매년 큰 폭 증가했다.

지난해 건설업계의 평균 매출액은 1천107억원으로 전년 대비 15.4% 증가했지만, 영업이익률은 전년보다 1.5%포인트 하락한 4.5%를 기록했다.

순이익률 역시 2021년 4.9%에서 지난해 3.6%로 하락했다.

아울러 지난해 건설업계의 부채비율은 144.6%로 전년(133.5%)보다 11%포인트 넘게 올랐다.

2018년 132.8%였던 부채비율은 2019∼2020년 120%대로 떨어졌으나, 지난해에 최근 5년간 최고 수준으로 올랐다.

코로나19 시기 저금리 기조에 따라 투자와 부채를 늘려왔지만 지난해부터 이어진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과 고금리 장기화로 이자비용이 급증하면서 전반적인 부실 위험이 커진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건설 자잿값이 지속해서 상승하면서 수익률이 악화한 것도 수익성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김태준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고금리 기조가 계속되고 있고 건설 원가 역시 높은 상태로 올해 건설업의 부실은 더욱 악화할 것"이라며 "이미 상당히 진행된 공사들이 중단되지 않도록 건설업계의 유동성 공급을 현실화하고 부실기업들에 대한 선제적인 구조조정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성수 글로벌에픽 기자 lss@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730.34 ▲3.13
코스닥 862.15 ▲7.72
코스피200 371.04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