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업계에 따르면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이른바 ‘티메프’ 사태에 대해 “정산 주기를 개선하는 문제와 위탁형 이커머스에 있어 에스크로(제3의 금융기관과 연계한 정산금 지급 방식)를 도입하는 등 자금 보관 문제도 같이 검토돼야 한다”고 밝혔다.
PG는 가장 뒷단에 있는 ‘에스크로’라는 기능이 핵심이다. 에스크로 기능이 있는 PG사는 다날을 비롯해, NHN한국사이버결제, KG이니시스, 세틀뱅크, 토스 페이먼츠, 등이 있다.
한 대표는 전일 있었던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며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그렇지만 그 피해를 최소화하는 과정에서 국민의 공감과 원칙을 지켜야 한다는 점도 국민의힘이 가진 방향”이라고 덧붙였다.
티몬과 위메프는 전일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했다. 티몬과 위메프는 판매자들에게 물품 대금 2100억원을 지급하지 못하고 있는것으로 추산된다. 이 액수는 지난 5월까지 미정산된 금액으로 최악의 경우 미정산 규모가 최대 1조원에 이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법원은 향후 심문기일을 열어 두 회사가 제출한 신청서를 검토한 뒤 회생 절차를 개시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통상 이 절차는 1주일가량 걸린다. 법원은 회생 신청의 이유를 살펴본 후 타당하다고 판단하면 재산 보전처분과 포괄적 금지명령 신청을 내리게 된다.
두 회사의 환불과 정산 지연 사태는 위메프가 지난 7일 '5월 판매자 대금'을 제때 정산하지 못하면서 시작됐다.
글로벌에픽 증권팀 박진현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