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광역시는 24일 시청 회의실에서 습지‧수질관리‧수자원 전문가와 한국농어촌공사, 국립생태원 등 관계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영산강 수질정화 생태습지 조성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광주광역시는 24일 시청 회의실에서 습지‧수질관리‧수자원 전문가와 한국농어촌공사, 국립생태원 등 관계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영산강 수질정화 생태습지 조성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지난해 ‘영산강 100리길 Y-프로젝트’ 기본구상 계획을 발표한 광주시는 이번 보고회에서 ‘영산강 수질정화 생태습지 조성’을 구체화하고 실효성 있는 기본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영산강 수질정화 생태습지 조성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은 오는 2025년 6월까지 용역비 8900만원을 투입, 영산강 상류부에 습지를 조성해 비점오염원 저감 등 수질 개선의 최적 대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여기에 하루 10만t의 하상여과수를 취수해 가뭄 때는 식수로, 평상시에는 하천 유지용수로 활용하는 ‘영산강 맑은물 순환형 공급체계 구축사업’과 연계해 영산강 유역 비점오염원을 줄이고 수질을 2등급으로 개선해 나가는 등 동반상승(시너지) 효과를 노리고 있다.
광주시는 착수보고회에서 논의된 사항을 조사 과정에 반영해 대상지 수질 현황, 습지 용량결정 등 정밀조사를 시행하고 사업대상지의 특성을 살려 최적의 생태습지 모델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승규 신활력추진본부장은 “영산강유역 내 비점오염원 저감을 통해 수질을개선하고 자연친화적 생태습지 조성으로 시민들이 자주 찾는 생태관광명소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박철환 글로벌에픽 기자 pch@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