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서울 중구 샘표 본사 1층 ‘우리맛공간’에서 열린 이번 특강은 소비자를 대상으로 전문가들이 나서 ‘장 담그기 문화’의 가치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의 의미 등을 알기 쉽게 설명하는 자리였다. 도시에서 장 담그는 법을 시연하고, 재료 본연의 맛을 끌어올리는 장과 여러 식재료의 조합을 맛볼 기회까지 제공해 참가자들의 만족도가 높았다.
먼저, 정혜경 호서대 식품영양학과 명예교수가 ‘장 담그기 문화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주제로 강연했다. 정 교수는 “장은 신라 왕실의 폐백 음식으로 쓰였을 정도로 유서 깊은 문화유산이자 채소 음식과 발효 음식이 발달한 한국 식문화의 정수”라며 “장 담그기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는 한국 식문화의 정체성을 전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홍란 샘표 우리맛연구중심 연구원은 장 담그기의 과학적 원리와 도시 생활에 맞춘 장 만들기 방법을 소개하고 시연에 나섰다. 이 연구원은 “집에서 장을 담그는 일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재료와 과정만 제대로 알면 누구나 맛있고 건강한 장을 손쉽게 만들 수 있다”며 “취향에 맞게 내 가족이 먹을 만큼 만들며 전통을 이어가는 즐거움이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안형균 샘표 우리맛연구중심 연구원은 ‘우리맛 연구, 장’을 주제로 샘표가 다년간 진행해온 장류와 채소 연구를 소개했다. 안 연구원은 “우리 민족의 오랜 유산인 장 담그기 문화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장을 활용한 요리를 더 쉽고 맛있게 즐길 수 있는 솔루션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동안의 우리맛 연구와 장 프로젝트 결과를 바탕으로 연두, 양조간장, 조선간장 등 샘표 대표 장류의 풍성한 맛과 향을 음미하고, 식재료와의 어울림을 확인하는 ‘장 페어링’ 시식이 이어져 참가자들의 흥미를 높였다.
강연을 들은 한 참가자는 “장 담그기를 사라져가는 전통이라고만 생각했는데 이번 특강을 통해 자랑스러운, 미래지향적 식문화라는 걸 알게 됐다”며 “세계적으로 K푸드가 각광받고 있는 지금, 유익하고 의미 있는 특강이었다”고 말했다.
샘표 관계자는 “한국을 대표하는 발효 전문 기업으로서 우리 장 문화의 우수한 가치를 널리 알리고, 장 문화의 다양성을 존중하며, ‘우리맛으로 세계인을 즐겁게’라는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안재후 글로벌에픽 기자/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