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로 발간 14년차를 맞는 2024 한국 부자 보고서는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과 부동산자산 10억 원 이상을 모두 보유하고 있는 ‘한국형 부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와 개인심층인터뷰를 바탕으로 현실적인 한국 부자에 관한 내용을 담아냈다.
2024 한국 부자 보고서는 ①‘한국 부자 현황’, ②‘한국 부자의 투자 행태’, ③‘한국 부자의 미래 투자 전략’, ④‘한국 부자의 부의 생애’, ⑤‘한국 부자의 부의 이전’, ⑥‘한국 부자의 대체투자자산 전망’, ⑦‘한국 부자의 디지털 자산관리(웰스테크)’의 총 일곱 부분으로 구성됐다.
먼저 ‘한국 부자 현황’ 부분에서 2024년 한국 부자는 46만 1천 명(국내 총인구의 0.90%)으로 집계돼 2023년(45만 6천 명) 대비 1.0% 성장에 그치며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들이 보유한 총금융자산은 2,826조 원으로 전년 대비 2.9% 증가했으며, 부동산자산은 2,802조 원으로 법인명의 부동산 증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10.2% 증가했다.
‘한국 부자의 미래 투자 전략’부분에서 확인한 한국 부자의 2025년 투자 기조는 대내외 불확실성의 확대로 인해 현재의 투자 수준을 유지하는 ‘현상 유지’가 대세를 이루는 가운데, ‘주식’과 ‘예적금’에서도 자금 ‘추가’와 ‘회수’의견이 공존하는 등 시장 전망에 대한 시각은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부자는 단기적으로 ‘주식’(35.5%)과 ‘금·보석’(33.5%)에서, 중장기적으로 ‘거주용 주택’(35.8%)과 ‘주식’(35.5%)에서 고수익을 기대한다고 응답했다. 자산관리 관심분야 1위는 ‘국내 부동산 투자’(40.0%)였으며 ‘실물(금·보석)투자’가 꾸준한 관심 상승(’22년 7위, ’23년 4위, ’24년 2위)에 힘입어 그 뒤를 이었다.
‘한국 부자의 부의 생애’ 부분에서 한국 부자는 ‘총자산 기준 100억 원’이상은 있어야 ‘부자’라고 생각하며, 42세에 7억 4천만 원의 종잣돈을 마련했다고 답했다. 본격적인 자산 증식의 동력으로는 ▲투자에 투입할 수 있는 연 평균 7천 6백만 원의 ‘소득잉여자금’ ▲금융자산을 먼저 모으고 일정 부분 모이면 부동산자산으로 이동하는 ‘자산배분 전략’ ▲부동산 매입에 힘을 보태는 ‘부채 활용 전략’을 꼽았다.
‘한국 부자의 부의 이전’ 부분에서 살펴본 한국 부자의 거대 자금은 ‘상속·증여’, ‘해외자산 투자’, ‘해외 투자 이민’을 통해 옮겨졌다. 먼저 한국 부자 5명 중 3명은 상속·증여를 받은 경험이, 4명 중 1명은 증여를 한 경험이 있었고, 향후 계획이 있는 부자도 절반(54.3%)에 달해 ‘세대간 자산 이전’은 계속될 것으로 보였다. 한국 부자 가운데 향후 해외자산에 투자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자는 50.3%로 현재 해외자산에 투자 중인 부자(60.3%)보다 10.0%p 감소했으며, 한국 부자의 26.8%는 ‘해외 투자이민을 생각해본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한국 부자의 대체투자자산 전망’ 부분에서 한국 부자의 83.2%는 대체자산 투자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한국 부자가 선호하는 대체자산 1순위는 압도적인 투자 경험(77.8%)과 가장 높은 미래 투자 의향(38.0%)을 나타낸 ‘금·보석’으로 확인됐다. 그 밖에 ‘예술품’은 ‘현재 최선의 투자처’로 관심을 받고 있었으며(‘예술품’ 투자 의향 이유 1위), ‘가상자산’은 ‘디지털 금’으로서의 가능성을 높게 평가받고 있었다. 투자 심리 회복 신호가 감지되고 있는 ‘비상장주식’에 투자 의향이 있는 부자는 ‘절세 혜택’(55.0%)을 투자 이유 1위로 꼽았다.
마지막으로, ‘한국 부자의 디지털 자산관리(웰스테크)’ 부분에서는 자산관리 분야에서 생성형 AI의 활용이 확대되는 가운데, 한국 부자는 생성형 AI 기반 고품질 데이터와 ‘인간(PB)의 개입’이 결합된 디지털 자산관리 서비스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개인화 투자 전략을 수립·운영해주는 ‘생성형AI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의 ‘직접 이용’ 의향은 33.0%인 반면, 이를 활용한 직원(PB)과의 상담 서비스 이용 의향은 52.8%로 ‘직접 이용’ 대비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2024 한국 부자 보고서는 지난 7월 31일부터 9월 6일까지 한국 부자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와 별도 패널을 대상으로 한 개인심층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작성되었으며,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유창규 글로벌에픽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