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9.18(목)

'위생불량' 배달전문 음식점· · ·경기도 특사경 37건 적발

김동현 CP

2025-04-16 09:41:18

[글로벌에픽 김동현 CP] 소비기한이 지난 식재료를 보관하거나, 보존기준을 지키지 않는 등 식품위생법을 위반한 배달전문 음식점들이 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에 적발됐다.
경기도는 지난 3월 10일부터 21일까지 2주간 도내 배달전문 음식점 360개를 대상으로 집중 수사를 한 결과, 총 37건의 불법행위를 적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적발된 주요 위반행위는 ▲소비기한 경과제품 보관 27건 ▲원산지 표시 위반 6건 ▲식품 보존기준 미준수 3건 ▲주요 변경사항 신고 미이행 1건 총 37건이다.

주요 위반 사례를 보면 구리시 A업소는 소비기한이 2주 지난 게맛살과 토란줄기 등 3종의 제품을 ‘폐기용’ 또는 ‘교육용’ 표시 없이 정상 식재료와 함께 보관했으며, 구리시 B업소는 수입산 돼지고기를 사용하면서 이를 국내산으로 거짓 표시해 적발됐다.

평택시 C업소는 냉장보관제품인 소스를 조리장 내 실온보관했으며, 화성시 D업소는 영업 신고한 면적에 해당되지 않는 장소에 위치한 냉장창고에 식재료를 보관하다 적발됐다.

식품위생법에 따르면 소비기한이 지난 제품·식품 또는 원재료를 제조·가공·조리·판매 목적으로 소분·운반·진열·보관하거나 이를 판매하는 등 영업자 준수사항을 위반하거나 영업장 면적변경 등 주요 변경사항을 미신고한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또한 식품의 제조·가공·사용·조리·보존 방법에 관한 기준 등을 위반하면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되고, 원산지표시법에 따라 원산지를 거짓·혼동 표시하면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기이도 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장은 “식사자리가 없고 조리공간이 개방돼 있지 않은 배달전문점 특성상 위생관리에 취약할 수 있다”며 “이번 수사를 통해 도민이 안심하고 구매하는 소비환경을 조성했다”라고 말했다.

[글로벌에픽 김동현 CP / kuyes2015@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447.62 ▲34.22
코스닥 854.00 ▲8.47
코스피200 473.20 ▲6.21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750,000 ▲831,000
비트코인캐시 859,500 ▲500
이더리움 6,422,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9,160 ▲100
리플 4,304 ▲16
퀀텀 3,457 ▲2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833,000 ▲933,000
이더리움 6,430,000 ▲19,000
이더리움클래식 29,150 ▲70
메탈 1,010 ▲3
리스크 515 ▲5
리플 4,306 ▲18
에이다 1,281 ▲11
스팀 189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850,000 ▲910,000
비트코인캐시 860,500 ▼500
이더리움 6,420,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9,130 ▲80
리플 4,307 ▲20
퀀텀 3,477 ▲47
이오타 27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