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가 1박2일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하여 주요 재계 인사들과 릴레이 면담을 가졌다. 지난달 29일 입국한 트럼프 주니어는 30일 하루 동안 약 12시간에 걸쳐 20여 명의 국내 재계 총수 및 CEO들과 만남을 가진 후, 1일 자정을 지나 전용기편으로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미국으로 출국했다.
이번 방한은 트럼프 주니어와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진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초청으로 성사됐다. 정 회장은 한국에 도착한 트럼프 주니어를 곧바로 자택으로 초청해 2시간에 걸친 환영 만찬을 베풀었으며, 트럼프 주니어의 숙소 및 국내 기업인과의 면담 장소인 서울 강남구 조선팰리스 호텔을 제공하는 등 물심양면으로 지원했다.
면담은 서울 강남구 조선팰리스 호텔 내 보안 구역에서 비공개로 진행됐으며, 각 기업인과 짧게는 30분, 길게는 1시간 가량 일대일 차담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트럼프 주니어는 공식 직함은 없지만 '막후 실세'이자 '비선 실세'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국내 재계의 관심을 모았다.
그러나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의 참석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해외 체류 중인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만남이 성사되지 않았다. 10대 그룹의 한 임원은 "트럼프 주니어가 '실세'라 하더라도 정부가 통상 협의를 진행하는 상황에서 (총수가) 따로 만나는 건 부담스럽다"고 언급했다.
면담 내용은 구체적으로 공개되지 않았으나, 각 기업의 미국 사업과 관련한 대화를 나누며 트럼프 정부와의 연결고리를 맺는 데 주력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난해 미국 필리조선소를 인수한 한화오션, 조지아주에 태양광 생산기지 '솔라허브'를 구축 중인 한화큐셀 등 미국 사업을 확대하는 기업들이 협력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해진 네이버 의장은 "인공지능(AI)과 기술, 글로벌 진출에 관한 의견을 공유하고 상호 협력에 대해 긍정적인 대화를 나눴다"고 밝혔다.
또한 지난해 기준 2000억 달러(약 285조 원)에 달하는 한미 간 교역 규모를 고려할 때 상호관세 부과가 양국 경제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전달된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미국 행정부의 공식 직함 없이 기업인으로 활동하는 트럼프 주니어가 한국에서의 사업 기회나 한국기업으로부터의 투자를 타진했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됐다.
한편, 정용진 회장과 트럼프 주니어의 친분 관계도 주목받았다. 정 회장은 지난해 12월 트럼프 주니어의 초청으로 미국 플로리다 팜비치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5박 6일간 머물며 상당한 시간을 함께 보냈고, 당시 당선인 신분이던 트럼프 대통령과도 조우해 긴 시간 대화를 나눈 바 있다. 이는 지난해 미 대선 이후 트럼프 당선인과 국내 기업인 간 첫 만남으로 기록됐다. 또한 올해 1월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때 워싱턴을 방문한 정 회장은 트럼프 주니어의 주선으로 미국 정·관·재계 인사들을 두루 접촉했으며, 4박 5일의 방미 기간 동안 여러 공식·비공식 행사에 함께 참석하며 친분을 과시한 바 있다.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 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